올 상반기 위조상품 단속에서 루이뷔통 브랜드가 가장 많이 적발됐다. 범칙금액과 적발수량에서는 닌텐도와 앵그리버드가 각각 가장 높았다.
관세청은 30일 올 상반기 단속한 총 315건, 6천159억원 상당(정품시가 기준)의 위조상품에 대한 침해 브랜드별 분석 자료를 발표했다.
분석 자료를 보면 브랜드별로는 211개, 수량으로는 165만2천438점이 단속됐고 이중 루이뷔통이 단속 건수가 가장 많았다. 이어 샤넬, 구찌, 버버리 순이다.
범칙금액으로는 불법게임소프트웨어로 인한 저작권 침해가 많았던 닌텐도가 가장 규모가 컸고, 다음으로 롤렉스, 루이뷔통, 카르티에가 뒤를 이었다.
적발 수량으로는 앵그리버드, 비아그라, KYK(일본의 소형 베어링 브랜드), 닌텐도 순으로 많았다.
품목별로 보면 완구·문구, 의류, 전기제품, 가방, 신발 순으로 적발 건수가 높았다.
품목별로 많이 적발된 상표는 앵그리버드(완구·문구), 캘빈클라인(의류), 닌텐도(전기제품), 루이뷔통(가방류), 뉴발란스(신발류) 등이었다.
특히 국내 기업의 브랜드를 위조한 상품이 늘어나 상반기에만 8만5천881점이 단속돼 전체 적발 수량의 5%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단속 실적을 훨씬 웃도는 것이다.
브랜드 수는 지난해 연간으로 8개에서 올해 상반기 22개로, 같은 기간 적발건수는 27건에서 43건으로, 금액으로는 13억원에서 17억원으로 각각 늘었다.
완구류인 손오공 상표의 금속 팽이 위조가 많았고 블랙야크, 알로앤루(유아복), 라비또(휴대전화 케이스) 등을 위조한 제품도 적발됐다고 관세청은 전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국내 브랜드 침해 사례는 과거에는 이어폰, 캐릭터 완구 등 일부 품목에 집중됐지만 최근에는 유아복, 아웃도어 의류, 휴대전화 액세서리 등 침해 품목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