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中企 기술유출 피해액 해마다 증가

한건당 15억8천만원

중소기업의 기술유출 피해액이 해마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중소기업청과 중소기업중앙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기술유출을 경험한 중소기업은 12.5%였으며 유출 한 건당 피해액은 평균 15억8천만원이었다.

기술유출 경험 기업은 2008년 15.3%에서 소폭 감소했지만 건당 피해액은 같은 기간 9억1천만원에서 15억원대로 크게 늘었다.

이는 부설연구소를 보유한 약 1만5천개 중소기업 중 매년 10% 정도의 표본을 추출해 실태를 조사한 결과다.

기술유출 경로는 ‘인력 빼가기’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작년 기준으로 기술유출의 42.2%가 ‘핵심인력 스카우트’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복사·절취’(38.9%), ‘이메일·휴대용장치’(18.4%), ‘시찰·견학’(10.8%)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은 핵심 인력은 주로 대기업 등으로 빠져나갔다.

중소 제조업체 직원들의 이직 원인 중 대기업의 스카우트에 의한 비중은 2009년 0.6%에서 2010년 0.8%, 작년 1.5%로 증가했다.

대기업 납품업체일수록 기술인력을 빼앗긴 경험이 많았다.

최근 5년간 한차례 이상 기술인력을 빼앗긴 중소기업의 75.0%가 대기업 납품업체였다. 대기업은 성장 잠재력이 크고 연구소를 보유한 중소기업의 인력을 주로 스카우트 한 것으로 나타났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