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빵집’을 둘러싼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으로 비유되는 제과 업종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여부를 놓고 대한제과협회와 대형 프랜차이즈의 갈등이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대한제과협회는 5일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 등 대형 프랜차이즈의 무분별한 확장과 불공정 행위로 동네 빵집은 문닫거나 길거리로 내몰리는 상황에 처했다”며 “프랜차이즈의 확장을 금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회는 이날 “대형 프랜차이즈의 확장으로 동네 빵집이 2000년 1만8천여개에서 작년 4천여개로 급감했다”며 “같은 기간 제빵제과 기술자 등 7만6천여명이 일자리를 잃었다”고 주장했다.
또 “대형 프랜차이즈가 이동 통신사와 제휴를 맺고 통신사 카드 소지자에게 할인 혜택을 줘 동네 빵집이 손해를 입고 있다”고 덧붙였다.
협회에 소속된 한 회원은 동네 빵집의 상권을 보장하라며 이날 삭발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대형 프랜차이즈는 오히려 최근 신규 가맹점 증가율이 둔화했다며 협회 주장을 반박했다.
파리바게뜨는 지난 4월 공정거래위원회의 모범거래기준 발표 이후 신규 매장 수가 월평균 16개에서 8개로 크게 감소한 반면 일자리는 3천100여개 가맹점포에서 3만3천여 명이 고용됐다고 설명했다.
뚜레쥬르도 매장 수가 2010년 1천401개에서 2012년 현재 1천270개로 줄었다고 밝혔다.
파리바게뜨 관계자는 “그동안 협회와 상생 방안을 협의해왔지만 협회 측에서 발전기금 52억원과 동네 빵집과 프랜차이즈를 포함해 빵집끼리 500m 이격 등을 요구해 논의가 결렬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동반성장위원회는 제과 업종 등 서비스 분야의 중소기업 적합업종을 지정해 이달 중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