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지난해 여름 수해를 입은 시설물의 복구에 나서고 있으나 행정절차 지연 등으로 완료율이 3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9일 도에 따르면 도내에서는 지난해 7~8월 태풍과 집중호우로 22개 시·군에서 482곳이 피해를 입었으며, 총사업비 347억원을 들여 오는 6월의 잘마철에 앞서 이들 시설물의 복구공사를 서두르도록 해당 시·군에 요청하고 있다.
하지만 수해 피해 이후 6개월여가 지났지만 복구공사를 끝낸 사업장은 115곳(24%)에 머물고 있다.
나머지 80곳(17%)은 공사 중이며, 287곳(59%)은 아직도 설계 중이거나 발주를 위한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
시·군별로는 수해가 심해 우심지역으로 지정됐던 연천군은 177곳 가운데 단 5곳(3%)만 복구를 끝냈고 광주시(12%)와 화성시(10%), 가평군(0%) 등도 완료가 늦어지고 있다.
파주시(68%)와 남양주시(68%), 양평군(85%), 여주군(94%) 등은 이보다 빠른 복구진척도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수해 복구가 늦어지고 있는 것은 감정평가와 사전환경성 검토, 측량, 보상협의 등이 늦어지고 폭설과 한파 등에서 비롯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