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수원시가 관내 지하보도에 방법 CCTV 설치·운영을 내세우고 있지만, 시민들이 관리 사각지대가 여전히 존재한다며 불안과 불만을 자아내 우려의 목소리가 일고 있는 가운데(본보 1월 24일자 22면 보도) 시민들이 차량 우선 방식의 지하보도 대부분에 대한 이용 자체를 기피해 실효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지하보도 2곳 중 1곳은 경사로나 리프트 등이 없어 장애인이나 유모차를 모는 시민들은 아예 이용자체가 불가능하지만 시는 개선은 커녕 뒷짐만 지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27일 수원시 등에 따르면 파장지하보도가 건립된 지 31년이나 지난 것을 비롯해 수원시내 지하보도 12곳 중 1곳을 제외하곤 2000년 이전에 설치돼 평균 17년 이상 경과되는 등 대부분 낡은 시설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오원춘 사건 등 강력범죄가 잇따라 발생, 불안감이 커지면서 시민들이 사고위험을 감수하고 무단횡단에 나서는가 하면 지하보도 이용 자체를 꺼리면서 도심속 흉물로 전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파장지하보도는 근처 횡단보도가 멀리 위치해 반대편으로 건너려면 200~300m 거리를 더 이동해야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시민들의 무단횡단이 가장 빈번한 곳 중 하나로 나타났다.
또 국도 1호선에 위치한 지하보도는 단 1곳만 경사로가 설치돼 있어 장애인 등 교통약자들의 이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인가 하면 지하보도 12곳 모두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점자표지판이 부재해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려가 전무한 실정이다.
성모(54·여)씨는 “가뜩이나 지하보도 이용이 무서웠는데 오원춘 사건이후 아예 지하보도는 접근조차 하지 않는다”며 “조명 조금 밝게 하고 CCTV 설치했다고 하지만 새벽 시간 또 험한 일이 발생하지 않을 꺼라고 누가 장담하겠냐”고 말했다.
문모(43·여)씨는 “9살난 아들이 지체장애여서 휠체어 이용이 불가피한데 리프트는 고사하고 경사로도 갖춰지지 않은 지하보도를 무슨 수로 이용하겠느냐”며 “환경생태수도라고 말만 하지 정작 차량 우선의 지하보도를 버젓이 이용하라고 강권하는 수원시가 누굴 위해 존재하는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국교통연구원 김영호 연구위원은 “상업시설과 연계되는 시설이라면 문제가 없겠지만 횡단보도 기능의 지하보도는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며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차별하는 것은 물론 차량을 우선하는 시설일뿐인 지하보도가 아니라 사람 우선의 횡단보도가 들어서야 맞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민들이 이용을 꺼리고 장애인 이용의 어려움 등은 알고 있다”며 “리프트 등 장애인 시설을 설치하고 싶어도 워낙 오래돼 개선할 방법이 없는 상태이긴 하지만 범죄예방을 위해 밝은 조명과 CCTV 등을 확충해 놓은 상태”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