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이달 미국 등 특사 파견을 검토 중인 가운데 대미 특사 과제로는 북한 문제, 관세 문제가 떠오른다.
특히 예정대로 오는 8일 상호관세 유예가 만료될 경우 국내 기업들의 돌파구를 모색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에 앞서 미국을 방문하는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상호관세 유예기간을 협의하는 한편, 한미정상회담 일정도 조율할 계획이다.
6일 정계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달 중 미국, 일본, 중국, 유럽연합(EU), 프랑스, 호주, 인도, 캐나다 등 10여 개국에 특사 파견을 추진한다.
미국의 경우 정부 고위급 관계자 등 중량감 있는 인사가 특사로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위 실장은 이날 방미길에서 관련 질문을 받자 “협의가 완료되기 전에는 내용을 밝힐 수 없다. 파견 시점도 판단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현 이재명 정부와 같이 탄핵 후,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해야 했던 문재인 정부에서 취임 후 첫 대미 특사 활동을 보면 이번에 파견될 대미 특사도 북한 관련 현안을 논의할 전망이다.
문 정부가 파견했던 홍석현 당시 대미 특사는 사드 배치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확인하고 한중 관계 관련 국내 여론을 미국 현지 매체에 전달하는 등 역할을 수행했다.
이번에는 관세 문제도 있어 대미 특사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
앞서 트럼프 2기 행정부 카운터 파트너로서의 경제전권대사를 요구해온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대사 역할로 통상, 무역, 대외 경제 협력 업무를 꼽았다.
최근에는 미국을 방문해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와 ‘자동차산업 상생을 위한 협의체’, 한국 부품기업-미시간주 소재 완성차 기업 간 대화채널 구축 등 협의를 직접 수행하기도 했다.
특히 한국 부품기업과 미시간주 소재 완성차 기업 간 대화채널은 김 지사가 기업의 요청을 받아 추진한 것으로 실제 기업 간 미팅을 성사시킨 바 있다.
한편 오는 8일 상호관세 유예 만료를 앞두고 미국을 찾는 위 실장은 이번 방미 일정에서 상호관세 유예기간뿐 아니라 한미정상회담 일정도 조율할 계획이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