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에서 전자 부품을 제조해 대기업에 공급하는 A사.
A사는 지난 2011년부터 올해 현재까지 대기업 납품 단가가 3년째 제자리걸음이다. 원재료 값과 인건비 등이 10~20% 이상 올랐지만 공급가는 2011년에서 성장이 멈췄다.
A사 관계자는 “매년 제조 원가 인상분을 공급가에 적용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지만 묵살 당하고 있다”며 “납품단가가 오르지 않으면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지 장담하기 힘들다”고 하소연했다.
이처럼 정부의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정책이 추진 3년 차를 맞았지만 대기업의 ‘납품단가 후려치기’는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대기업과 거래관계가 있는 중소제조업체 200개를 대상으로 ‘중소제조업의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54.0%의 기업이 ‘대기업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답했다고 8일 밝혔다.
반면, ‘납품단가가 적정하다’고 평가한 기업은 16.5%에 그쳤다. 29.5%는 ‘보통이다’이라고 응답했다.
대기업과 거래하는 중소기업 절반 이상이 여전히 제 값을 받지 못하는 셈이다.
최근 2년간 재료비, 노무비, 경비는 4.3%~6.7% 증가한 반면, 납품단가 인상은 0.2%~0.6%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은 이유는 ‘무리한 가격경쟁으로 납품가격 인하 불가피’(32.4%), ‘원자재 상승요인 있었으나 가격인상 동결’(28.7%)이 가장 주된 요인이다.
또 ‘부분반영 되었으나 가격인상이 충분치 않음’(18.5%), ‘노무비, 전기료 등 특정항목 미반영’(8.3%), ‘비용 인상분 전가’(7.4%), ‘정당한 이유없이 일률적 감액’(2.8%) 등의 이유도 이어져 대기업 횡포는 여전했다.
중소제조업체가 생각하는 적정단가 인상은 ‘10~15% 미만’(35.2%)이 가장 높았고, ‘일정기간 일감(납품물량)보장’(42.5%), ‘납품단가 제값받기’(30.5%) 등의 거래 개선을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재한 중기중앙회 경기지역본부장은 “제조원가는 오르는데 납품단가는 제자리 걸음을 하면서 대기업에 의한 중소기업 경영난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다각적인 개선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