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노점상연합회가 오산시청 앞에서 시의 노점상 단속에 대한 반발과 내부결속의 일환으로 대규모 집회를 열었지만 현장에 투입된 경찰이 집회 참가자들 입장만 대변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불법에 대한 근본적 대응은 망각한 채 집회해산에만 급급했던 게 아니냐는 비난이 일고 있다.
28일 오산시와 화성동부경찰서에 따르면 전국노점상연합회 서울, 경기지부(이하 전노련)는 지난 26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산시청 앞 노상에서 노점상 단속에 반발하는 집회를 열었다.
경찰은 이날 집회에 5개 중대, 350여명의 경력을 현장에 배치해 대응에 나섰다.
그러나 경찰은 전노련이 집회 해산을 전제로 시 관계자와 면담을 요구하자 시에 면담을 종용하는 등 전노련의 입장만을 대변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파문이 일고 있다.
전노련의 이날 집회는 29일로 예정된 중앙회 선거와 관련한 내부 다지기 차원의 것이라는 정치적 의미가 포함됐음에도 경찰이 집회 해산에만 혈안이 된 게 아니냐는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더욱이 시가 집회에 앞서 오산지역 노점상들과의 면담을 통해 불법행위에 대해 적극 대처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지만 전노련은 서울과 경기지부 회원들까지 동원해 대대적인 집회를 연 것으로 알려지면서 경찰의 대응과 입장을 둘러싼 논란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무원 A씨는 “누가 봐도 불법임을 알고 이를 없애려는 시를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민생치안을 챙겨야 할 경찰이 전직원을 동원해 불법행위를 자행하는 사람들과 중매쟁이 역할을 하는 모습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집회 참가자들이 서둘러 해산하는 게 경찰 입장에서는 좋겠지만 한편으로는 불법을 묵인하려는 모습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전노련과 수차례 면담을 했지만 법률에 정해진 사항을 두고 협상을 하는 것은 있을수 없는 일”이라며 “이날도 면담을 통해 집회가 해산되기는 했지만 아무런 성과도 없었고, 불법 노점상 단속은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화성동부서 관계자는 “합법이던 불법이던 집회는 일종의 민원으로 볼 수 있는데, 담당 직원들이 적극 해결하지 않고 당사자들과 면담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며 “경찰은 집회가 발생하면 아무런 불상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임무에 충실한 것 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