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지역 119개 공기업 가운데 43곳이 3년 이상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3곳은 5년 이상 단기순이익을 기록 중이다.
27일 안전행정부의 ‘지방공기업의 2012년 결산 분석 결과’에 따르면 경기지역 103개 공기업 가운데 41곳이 3년 이상 적자를 기록중이다.
공기업 별로는 상수도 9곳, 하수도 28곳, 공영개발 1곳, 지방공사 3곳 등이다.
경기도고덕국제화계획지구의 경우 2010년 12억원을 시작으로 2011년 18억원, 지난해 22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각각 기록해 적자규모를 52억원으로 키웠다.
화성도시공사는 2010년 22억원, 2011년 72억원, 지난해 50억원의 당기순손실로 적자규모가 144억원을 기록했고 안산도시공사와 남양주도시공사도 각각 35억원과 33억원의 누적 적자를 기록했다.
하수도 공공기업은 고양 1천566억원, 용인 556억원, 안산 526억원, 광주 415억원, 포천 365억원, 파주-359억원, 평택 313억원 순으로 적자 규모가 컸다.
이에 반해 21곳의 공기업은 5년 연속 흑자를 기록 중이다.
공기업 별로는 경기도시공사가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가장 많은 7천852억원의 흑자를 기록했고 경기지역개발기금 2천102억원, 하남도시개발공사 633억원, 용인도시공사 428억원, 평택항만공사 18억원 등도 이익을 내고 있다.
인천지역 공기업 가운데는 인천교통공사가 최근 3년간 총 2천753억원의 적자를 냈고, 인천광역시하수도 역시 누적적자 664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인천광역시상수도와 인천지역개발기금은 최근 5년간 756억원과 506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지방직영기업은 하수도관이나 하수처리장 증설 등 공공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시설투자, 지방공사와 공단은 추진사업 마무리를 위한 자금투입과 분양부진 등이 부채 증가의 원인이라고 안행부는 설명했다.
안행부는 지방공기업의 재무건전성 강화를 위해 도시공사 부채감축목표제 도입, 부채발생 및 경영손실에 대한 원인과 사후조치를 위한 구분회계제도, 국제회계기준 등을 도입하고, 채무보증 등 지침 위반에 대한 페널티와 경영공시 및 정보공개를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