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수원시민 전체의 편익을 위해 만들어진 복합화시설의 운영방식을 놓고 교육청이 당초 협약을 무시하고 억지주장을 펼치고 있는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 가운데(본보 7월 23·24일 1·23면 보도) 교육청은 시의 운영권 이양에는 반대하면서 무료 사용만을 주장하고 있어 도가 지나친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더욱이 교육청은 학교의 입장을 수원시에 전달하기 위해 집단행동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학부모들을 등에 업은 막무가내식 주장에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4일 수원시와 수원교육지원청에 따르면 광교신도시 에듀타운의 신풍초와 다산중 부지 내에는 시 소유권인 청소년수련관과 스포츠센터를 각각 건립해 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교육청은 복합화시설이 학교 부지 내에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사용에는 어떠한 제약도 있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면서 시와 갈등이 빚어지고 있지만 시의 운영권 완전 이양에는 소극적인 입장을 표하는 실정이다.
복합화시설을 수원보다 먼저 도입한 서울시의 경우 대다수 시설이 학교장에게 운영권이 이양된 상태다.
그러나 교육청은 학교장이 운영하는 서울시의 복합화시설이 적자에 허덕이면서 교육청 예산을 투입해 적자를 보전하고 있는 것을 파악하고, 서울과 같은 손해를 피하기 위해 운영에는 참여하지 않고 실리만 챙기려 하는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실제 서울 강남구의 영희초교의 경우 교내에 설립된 복합화시설을 올해부터 외부업체에 위탁 운영한 뒤 적자를 면하려는 업체가 사용료를 대폭 인상하는 등 부작용마저 나타나는 실정이다.
더욱이 신풍초와 다산중 학부모들은 최근 불거지고 있는 복합화시설을 사이에 둔 시와의 갈등을 학교 입장에 유리한 방향으로 해결하고자 시를 상대로 집단행동을 할 조짐마저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운영방식 결정을 위한 합의에 교육청의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A교 교장은 “두 학교 학부모들 사이에서 자녀 안전은 물론 시설 사용을 둔 시와의 갈등을 서둘러 해결하기 위한 집단행동 주장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지만 학교 차원에서 자제를 요청하고 있다”며 “교육청과 시가 서둘러 합리적인 방안을 만들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두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물론 학부모들도 모두 수원시민인만큼 대승적 차원에서 운영방식을 결정할 계획”이라며 “교육청과 구체적인 합의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