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4.5℃
  • 흐림강릉 22.6℃
  • 흐림서울 24.5℃
  • 흐림대전 24.1℃
  • 흐림대구 29.2℃
  • 흐림울산 26.4℃
  • 흐림광주 24.4℃
  • 흐림부산 24.3℃
  • 흐림고창 23.7℃
  • 흐림제주 27.1℃
  • 구름조금강화 25.9℃
  • 흐림보은 23.9℃
  • 흐림금산 25.5℃
  • 흐림강진군 24.9℃
  • 흐림경주시 27.6℃
  • 흐림거제 23.6℃
기상청 제공

차 없는 미래도시 도전… ‘사람’ 중심의 생태교통 롤모델 제시

국내외 100만명 ‘보행자 천국’ 체험
사람 중심 교통체계 인식 전환 첫발
수원시, 세계 최초 도전 위상 높여
세계 45개국 95개 도시 대표 참가
생태교통 추진 수원총회 선언문 채택

 

‘생태교통 수원2013’ 페스티벌 한달 여정 마치고 성공리 폐막

‘사람·자연·미래’를 여는 ‘인문학 본류’ 수원시의 이유있는 도전인 석유 고갈 상황을 가정한 차 없는 마을 체험 ‘생태교통 수원2013’이 한달 동안의 여정을 마치고 1일 폐막한다. 세계 45개국 95개 도시 대표들이 ‘2013 생태교통 수원총회’에서 생태교통 추진 의지를 담은 선언문을 채택하고 국내외 100만 방문객이 행궁동 차 없는 마을에서 생태교통을 체험했다. 생태교통 페스티벌의 성공 개최로 수원시는 생태교통에 도전한 세계 최초 도시로 기록되면서 생태교통의 표준을 보유한 중심도시 위상을 갖게 됐다. 행궁동 4천300명 주민은 한달 동안 차 없이 사는 불편체험을 성공적으로 마침으로 기후변화 등 환경에 대응하는 수원시민의 의지를 세계인에게 인상적으로 남겼다.

 

 


▲ ‘생태교통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 확인 성과 = 생태교통 페스티벌 기간 차 없는 마을 행궁동 방문객들은 길을 걸을 때 차를 피해가지 않아도 됐다. 자전거를 타거나 유모차를 끌고 갈 때도 자동차의 경적을 듣지 않았고, 오히려 마을에 간간이 들어온 상업용 자동차는 사람 눈치를 봐야 했다.

뒤집혔던 도로의 ‘갑과 을’이 원위치를 찾은 것이다.

수원시 생태교통추진단은 폐막을 하루 앞둔 30일 현재 생태교통 차 없는 마을 방문객이 99만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도로를 차에게 내주고 사람은 육교로, 지하도로 피해 다니던 교통체계에서 사람이 중심 되는 생태교통을 이들이 체험했다.

생태교통 세상을 맛보고 달콤한 추억을 갖게 된 체험자들에게 도로를 다시 차에게 내주라고 말할 수 있는 교통정책 입안자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사람 중심의 교통체계를 회복하자는 수원시의 생태교통 제안은 세계 어느 도시도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다.

이번 페스티벌은 ‘자동차’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교통체계 인식을 전환하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이 가장 큰 성과로 꼽힌다.

▲ 생태교통 최초 도전 도시 세계 각인 = 9월 1∼4일 행궁광장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생태교통 수원총회’에는 세계 45개국 95개 도시 대표가 참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미래 교통시스템에 대해 논의했다.

도시 대표들은 “대부분 도시가 자동차를 선호하며 도시인의 삶을 파괴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미래 교통 개념은 걷기, 자전거, 카셰어링 등 지속 가능한 경제적 이동수단”이라며 생태교통 추진 의지를 담은 수원총회 선언문을 채택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수원총회 기조연설에서 “온실가스 80%가 전 세계의 도시지역에서 배출되고 있다”며 “수원시가 먼저 도전해 도시를 바꿔보겠다”고 세계 도시의 책임과 동참을 호소했다.

수원총회에 참석한 세계 각 지방정부 지도자들은 화석 연료가 고갈된 상황을 설정한 뒤 세계 최초로 실제 상황에서 차 없는 마을을 구현한 수원 행궁동 실험을 목격했다.

생태교통 행궁동의 체험은 많은 도시 지도자에게 각 도시 교통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영감을 줬다.

‘생태교통 수원2013’ 개최로 수원시는 생태교통에 도전한 전 세계 첫 번째 사례 도시로 생태교통의 표준을 제시하며 세계 생태교통의 중심도시 위상을 굳혔다.

▲ 행궁동 주민 불편 감수…차 없는 마을 실현 = 행궁동 34만㎡에 거주하는 주민은 2천200가구, 4천300명으로 이들이 보유한 자동차는 1천500여대에 이른다.

시가 생태교통 페스티벌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행사 주 무대인 마을주민의 반대가 만만치 않았다.

내 집 앞에 차를 세우던 ‘편리한’ 습관을 버리고 한 달 동안 외부 주차장까지 걸어가는 불편을 감수하라는 통행제한 조치를 받아들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시는 수십 차례 주민설명회를 개최하고 집집이 방문하며 설득하는 한편 주민추진단, 시민서포터즈를 구성해 뒷받침하게 했다.

행사 개막을 하루 앞둔 8월 31일 밤 행궁동 차량은 놀랍게도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개막일인 1일 오전 화서문로, 신풍로 등 주요 도로를 비롯해 골목까지 차량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소수가 반대의 소리를 높였지만 대부분 주민은 생태교통을 추진하는 시의 취지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인 결과로 평가됐다.

생계형 차량이 간간이 골목길에 주차하는 모습이 보이기는 했어도 행사 기간 내내 차 없는 마을 통행 제한은 눈에 띄는 성과가 유지됐다.

‘생태교통 수원2013’ 총책임을 맡은 오토 짐머만 ICLEI(지속가능성을 위한 세계지방정부) 전 사무총장은 “31일 밤 차량이 모두 이동한 행궁동을 보고 소름이 끼쳤다”며 “전 세계 어느 도시에서도 상상할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고 회고했다.



▲ ‘낙후’ 원도심 투자, 도시재생 명분·계기 제공 = ‘생태교통 수원2013’를 앞두고 수원시는 행궁동에 130억원을 투입, 도로를 보행자 중심으로 개선하고 상가 간판과 주택 벽면을 정비했다.

도로가 화강암으로 포장되고 소나무 가로수, 쌈지공원, 옛길 벽화, 화단 등으로 장식돼 과거 쇠락했던 거리가 깔끔한 영화 세트장을 방불케 변했다.

세계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규제로 낙후된 점과 생태교통을 위해 불편을 감수한다는 점이 특정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의 명분이 됐다.

행사 기간 방문 인파가 넘쳐나며 행궁동 공방거리는 서울 인사동을 방불하는 특수를 누렸고 인근 수원천변 상가, 지동시장은 모처럼 손님들로 장사진을 이뤘다.

시는 지역균형 발전 차원의 과제였던 원도심 재생에 대한 자신감을 찾고 앞으로 다른 원도심 지역에 대한 마을만들기 투자를 계속한다는 계획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