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내년 지자체 최초로 중소기업 장기 근속자에 대한 인센티브제를 시범 추진한다.
다양한 지원정책에도 불구, 중소기업 현장의 필요 인력 공급이 미흡한 상황이 지속되자 지역 특색에 맞는 장기재직 유인책을 마련한 것이다.
도는 내년부터 도내 50인(상시 고용 인원) 이하 중소 제조업 및 지식기반 서비스 기업 근로자에게 입사 후 2년 근속시 200만원, 3년 근속시 300만원 지급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중소기업 장기근속자 인센티브’(가칭)를 시범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범 인원은 총 100명으로 예상 사업비는 총 5억원이다.
재원은 국비 50%, 지방비(시·군) 30%, 기업체 20%의 매칭을 통해 조달할 계획이다.
이번 추진안은 중소기업 근로자의 이직률을 낮춰 기업에 필요한 핵심 인력 양성을 위한 것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난해 12월 조사한 중소기업 퇴직 현황을 보면, 입사 후 1년 이내 퇴사율이 66.8%에 달했고, 2년 이상 근무자는 15.2%에 그쳤다.
또 임금수준별 이직률(2010년 대졸자 기준)은 ▲‘100만원 미만’ 82.6% ▲‘100~150만원 미만’ 70.8% ▲‘250~300만원’ 22.0% ▲‘300만원 이상’ 18.2%로 임금이 낮을수록 이직률이 높았다.
이에 따라 도는 중소기업 근로자의 장기 근속여부는 보수(임금)와 상관관계에 있다고 판단, 장기 근속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이달 중 세부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내년 1월에는 참여기업 공모에 들어간다.
다만 도의 재정난에 따라 사업비에 대한 주체별 재원 매칭 비율은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도 관계자는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국비지원(정부시책 도입 건의)은 물론 보험기금(신규 채용자 고용촉진장려금) 등을 활용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