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군포시의회가 2014년 본예산 심의에 주민참여예산을 대거 삭감해 비난(본보 213년 12월23일 9면 보도)받고 있는 가운데 1차 추경예산안에서 또다시 주민참여예산 92.25%를 삭감해 시민들로부터 원성을 사고 있다.
또 주민참여예산을 삭감하면서도 시의원 본인들이 의회 활동 중 있을지 모를 법정분쟁에 대비해 변호사를 선임하기 위한 예산 800만원을 새롭게 추경에 편성해 자신들의 안위만 챙겼다는 비판도 일고 있다.
23일 군포시의회와 시민들에 따르면 시의회는 지난 21일 제199회 임시회 2차 본회의를 제1차 추가경정예산안 177억3천700만원 중 98억6천432만원을 삭감했다.
특히 이 중 지난해 본예산 심의 시 논란이 됐던 주민참여예산 총 30건의 사업 13억3천여만원이 포함돼 있었으나 이 가운데 27건 12억2천700만원이 또다시 삭감됐다.
이는 상정된 전체 주민참여예산 중 92.25%를 삭감한 것으로, 삭감된 사업비들 중 어린이 안전 및 건강을 위한 어린이공원 정비 사업비가 대거 포함돼 있다.
시의회는 해당 예산들을 본예산에 반영해야 할 사업비가 추경예산으로 편성되는 것은 적절치 않고, 어린이공원 정비기준을 통일시킬 필요가 있다며 삭감이유를 밝혔다.
하지만 지난해 주민참여예산 삭감 이후 주민들의 강력한 비판이 있었던 별님어린이공원 보수사업비 300만원, 금산어린이공원 바닥교체비 5천만원, 반월호수 환경개선사업비 5천만원 등 3건의 사업비는 승인해 심의의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또한 반영된 사업비들의 경우 모두 사업대상이 특정 지역구인 가 선거구 몰려 있어 형평성 논란도 일고 있다.
이에 대해 A시의원은 “삭감된 예산들은 주민참여예산보다는 시 자체 본예산에 편성되는 것이 맞다”며 “의원들이 현장방문을 통해 시급한 사업을 결정해 반영 및 삭감을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의원들의 말과는 달리 현장 확인을 한 곳은 일부이며 이 또한 의원들 개인별로 확인한 것이라고 밝혀 신빙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시민 유모(50)씨는 “군포시의원들을 보고 있으면 누구를 위해 일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이번 일은 권력 남용을 넘어 횡포로 느껴진다”고 분노했다.
/군포=장순철기자 js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