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지사에 출마한 새정치민주연합 경선 후보 간 갈등을 증폭시켰던 ‘경선 방식’이 최종 결정됐다.
여론조사에 새누리당 지지층을 제외하고 새정치연합 지지자와 무당층을 대상으로만 실시한다. 다만 조사결과는 지난 2012년 대선 당시의 연령대 투표율을 기준으로 연령별 투표율을 보정키로 했다.
김진표(수원정) 의원과 김상곤 전 교육감도 이번 결정을 받아들일 것으로 보여 한때 파행 위기로까지 치닫던 경기지사 경선이 정상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양승조 새정치민주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은 13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기도지사 국민 여론조사 방식에서 중앙선관위는 세 후보 의견 적극 반영키로 했다”며 “여론조사 대상은 새정치민주연합 지지자와 무당층으로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조사결과를 연령별 투표율로 보정키로 했다. 예를 들어 19세,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으로 구분한다”고 설명하고 “투표율 기준은 가장 최근에 실시한 전국투표인 2012년 12월 대선에서 경기도 선거결과의 연령대 투표율을 기준으로 삼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날 선관위가 내놓은 안은 김 전 교육감과 원혜영(부천오정) 의원이 요구한 여당 지지층 배제와 김진표 의원이 지난 11일 제안한 여론조사 결과에 연령별 투표율을 보정하는 방안을 절충한 안이다.
당초 김 전 교육감은 연령별 투표율 보정도 반대했다.
선관위는 이를 감안해 김 의원이 주장한 지난 2010년 지방선거 당시보다 20~30대 젊은 층의 투표율이 높았던 2012년 대선 당시의 투표율을 기준으로 결정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에 대해 김 의원 측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김 전 교육감 측도 일단 이를 받아들인다는 분위기다.
김진표 의원 측은 선관위의 결정과 관련 “아직 내부회의 등을 거치지 않아 정확한 판단이 어렵지만 일단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라며 경선 정상화를 시사했다.
또 김 전 교육감 측은 “‘연령별 투표율 보정’에 대해 반대하는 기존 방침은 변하지 않았다”라고 말하면서도 “일단 대승적 관점에서 당의 결정을 받아들인다”고 밝혀 경선 룰을 두고 붉어진 후보 간 갈등이 봉합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춘원·홍성민기자 h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