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개 선거구에서 치러지는 ‘미니 총선급’ 7·30 재·보선이 불과 3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이번 주 정국은 다시 한 번 강대강 정면충돌의 전운이 감돌고 있다.
특히 이번 주 정국은 인사청문회와 청와대의 세월호 국조특위 업무보고가 몰려 있는 상황이어서 인사청문회는 선거를 의식한 여야의 치열한 ‘격전장’이 될 전망이다.
다만 여야 신임 원내대표 취임 이후 처음으로 이번 주 이뤄지는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원내지도부 간의 회동이 정국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우선 여야는 이번 주 총 8명의 장관 후보자(국정원장 후보자 포함)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치열한 대결을 벌인다.
7일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장관 후보자와 이병기 국정원장 후보자를 시작으로 ▲8일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정종섭 안전행정부장관 후보자·이기권 고용노동부장관 후보자·김희정 여성가족부장관 후보자 ▲9일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 ▲10일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줄줄이 열린다.
이들 가운데 새정치민주연합이 주요 공략대상으로 삼은 김명수 후보자와 이병기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가 가장 뜨거운 ‘검증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새정치연합은 이들 두 후보자에 더해 ‘+α 낙마’를 공공연히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전원 사수’로 배수의 진을 치고 있다.
정홍원 총리를 유임시키는 등 안대희·문창극 전 총리 후보자의 연쇄 낙마 파장이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이들중 한 명이라도 추가 낙마자가 나오면 정치적 타격이 작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147석인 새누리당은 7·30 재보선에서 과반의석(151석, 300석 기준)을 회복하기 위해,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를 저지하기 위해 총력전에 나선 상황이다.
세월호 국조특위도 진상 규명보다 여야 대치로 위험수위를 넘나드는 가운데 청와대(비서실·국가안보실)·국가정보원(10일)의 업무보고가 예정된 이번 주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국조특위는 지난 2일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한 새정치연합 김광진 의원의 ‘발언 왜곡’ 논란으로 새누리당이 회의 진행을 거부하는 등 파행을 빚은 바 있다.
새누리당은 김광진 의원의 국조특위 위원직 사퇴를 요구하고 있고, 이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이번주 청와대업무보고의 보이콧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청와대 업무보고가 이뤄지더라도 김기춘 실장이 나서는 비서실 업무보고에서 여야 간의 난타전이 예상된다.
그동안 인사난맥상과 국정파행에 대해 김 실장의 책임론을 제기해온 야당이 김 실장의 사퇴를 주장하면서 국조특위 자체가 파행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