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 민간전문가… B형 퇴직 공무원·민간 경쟁… C형 전·현직 공무원
道 퇴직공무원 공공기관 재취업 기준안
경기도가 마련한 퇴직공무원 공공기관 재취업 기준안은 총 47개 직위가 대상이다.
공기업 3곳, 출자·출연기관 20곳, 보조기관 3곳 등 26곳의 도 산하 공공기관 CEO직 26개 직위와 관례적으로 퇴직공무원이 재취업 해온 간부직 21개 직위다.
사단 및 재단법인 8개 기관 간부직을 포함하면 대상 직위는 총 55개 직위로 늘어난다.
유형별로는 A유형 26곳, B 유형 11곳, C 유형 18곳 등이다.
전문성과 경영능력이 요구돼 민간전문가 중심으로 채용이 이뤄지는 A유형은 공공기관 CEO 23곳과 간부직 2곳, 사단 및 재단법인 간부직 1곳으로 나뉜다.
공공기관 CEO는 예산규모 400억원, 직원 수 100명이 넘는 이른바 ‘빅4’ 기관인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경기중기센터) 대표, 경기신용보증재단 이사장, 경기도시공사 사장,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 등이다.
공무원이 재취업 할 수 없는 간부직은 경기문화재단 경영혁신자문역, 경기도시공사 도시개발본부장(상임이사) 2곳에 김문수 전 도지사의 비서실장이 내려가 있는 경기도경제인단체연합회 사무총장직도 포함됐다.
B유형은 CEO 3곳과 간부직 6곳, 사단 및 재단법인 간부직 2곳 총 11개 직위다.
이사관급이 재취업 하던 한국도자재단과 경기농림진흥재단 대표, 경기평택항만공사 사장직은 B유형으로 분류돼 퇴직 공무원이 민간과 경쟁을 통해 재취업의 길이 열린다.
또 경기중기센터 북부센터본부장, 경기과학기술진흥원(경기과기원) 판교지원단장, 경기테크노파크 기획조정본부장, 경기복지재단 노인일자리센터장, 경기도시공사 지역경제본부장, 킨텍스 보트쇼사업단장, 대한건설협회경기도회 사무처장, 경기도교통연수원 사무국장 등도 공무원과 민간이 경쟁을 펼치게 된다.
전·현직 공무원의 재취업이 가능한 C유형으로 분류된 곳은 경기개발연구원 사무처장·경기중기센터 경영관리본부장·경기과기원 경영관리본부장 등 공공기관 간부직 13개 직위, 경기도자원봉사센터 사무처장과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행정본부장 등 사단 및 재단법인 5개 직위 등이다.
도는 이같은 내용을 경기도 연정 정책협의회를 거쳐 향후 인사때부터 반영할 계획이다.
하지만 야당 몫 배정 등 논란의 소지가 남았다.
앞서 도의회 새정치민주연합이 지난 1일 ‘경기도 연합정치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야당 몫의 인사권 배분을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
이 자리에서 새정치연합 오완석(수원) 의원은 “인사권의 원칙은 의석 비율에 따른 배분이다. 이것이 진정한 연정의 기본”이라며 “부지사 뿐 아니라 공공기관과 기관장 등에 대한 (야당 몫의) 가능한 지분을 확보하고, 부서과 기관명까지 합의문에 구체적으로 명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당 양근서(안산) 의원도 “도지사의 인사권 중 현행법상 배분 가능한 범위와 직위를 구체적으로 정해 연정 계약서에 명기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