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일각에서 개헌 주장이 불거져 나오는 가운데 야당에서도 이에 화답하는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은 25일 트위터에서 “진정한 정치혁신과 국가 개조는 개헌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4년 정·부통령 중임제의 분권형 개헌을 통해 직선 대통령은 외치를, 국회에서 선출한 총리는 내치를 하도록 해야 한다”며 “선거를 2년마다 하면서 이념과 지역 분쟁을 없애고 총리를 국회에서 선출해 상생의 정치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문희상 비대위원장도 취임 직후부터 개헌의 필요성을 꾸준히 언급하고 있다.
문 비대위원장은 내정 직후 “전반적인 개혁을 이루기 위해선 헌법을 손봐야 한다”며 개헌논의에 적극적으로 임할 뜻을 내비쳤다.
이어 “권력구조부터 제왕적 대통령의 권력을 내려놓는 분권형으로 바꿔야한다”며 “권역별 비례대표를 늘려 지역주의 색깔이 심화되는 걸 막고 중대선거구제로 바꿔서 사생결단식 선거 체제를 없애야 한다”고 말했다.
문 비대위원장은 이후 당직자들을 상대로 정치혁신 방향을 설명하면서도 “혁신과제를 정리하다보면 제왕적 대통령제를 바꾸는 개헌까지 논의가 나갈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대위원으로 참여한 문재인 의원도 지난 대선 후보 때부터 대통령제를 4년 중임제로 바꿔야 한다고 공언한 바 있어 당내 논의는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전날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은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 “5년 단임 대통령제를 개헌하지 않고는 나머지 보수 혁신은 의미가 없다”고 말하는 등 여당에서도 비주류를 중심으로 개헌주장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여야 의원들이 함께 움직이며 개헌 논의에 박차를 가할 가능성도 있다./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