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학교에 깔린 인조잔디 운동장에 대한 예산 지원을 중단하기로 해 오래된 인조잔디 운동장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도교육청은 “인조잔디 운동장에 대한 유해성 논란이 지속되고 재조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막대한 예산이 들어간다”며 “인조잔디 운동장 신설과 재조성 등에 교육청 차원의 예산 지원 계획이 없다”고 13일 밝혔다.
도내 초·중·고교에 설치된 인조잔디 운동장은 2004년 4개교에서 10년 만에 현재 327개교로 늘어났다. 지역교육청별로는 용인이 32개교로 가장 많고 화성오산 29개교, 고양 23개교, 안산 21개교, 김포 19개교, 수원 18개교, 성남·평택·광주하남 17개교 등이다.
인조잔디 운동장은 대부분 국민체육진흥공단과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을 지원받아 조성됐다.
학교당 3억5천만∼5억원의 설치비용 이외에 평균 수명이 7∼8년이어서 개보수나 교체 비용도 2억원 가량이 필요하다.
유지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충격흡수력이 떨어져 근골격계 질환을 일으킨다.
특히 유해성 물질 검출 논란과 더불어 화상, 두통, 아토피, 세균 감염 등으로 안전성 문제도 불거진 상태다.
도교육청이 학교별로 자체 노후도(A∼C등급)를 조사한 결과 9.5% 31개교가 C등급으로 분류됐다.
열 곳 중 한 곳 꼴로 개보수나 교체가 필요한 시점이 된 셈이다.
이에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청 예산으로 개보수나 교체비용을 지원할 계획은 없으며 재정비가 필요한 학교는 정부과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