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공사가 추진중인 고등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이 내달 최종 사업추진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또 다시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현재 8천억원에 달하는 보상금이 지급된데다 1블록의 철거작업이 진행중인 상태여서 사업중단시 걷잡을 수 없는 파장이 예상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4일 수원시와 LH 등에 따르면 지난 3일 시 도시재생과에 대한 수원시의회 도시환경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 ‘고등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 관련, 김무홍 LH고등사업단장이 참고인으로 출석했다.
김 단장은 “처음 고등지구사업을 추진했을 때 손실액을 670억원 정도로 추정했는데 지난 7월 분석 결과 7천9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장께 보고를 드렸다”며 “사업 계속 여부를 내달 경영진에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용적률 완화 등을 통해 3천억원 정도의 손실액을 줄인다 하더라도 5천억원의 손실이 발생한다”며 “보고 당시 연말까지 사업성 개선 노력을 한 다음 판단하겠다는 지시가 있었다. 이후 5개월 동안 수원시와 사업성 개선협의를 했고, 현재 어느 정도 정리돼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LH는 사업성분석결과를 근거로 용적률 상향 조정(187%→209%), 북측지구 도로개설비용 지원, 준주거지역 용도변경 등의 사업성 개선 조치를 시에 요구했다.
시와 LH는 협의를 통해 대부분의 요구사항에 합의했지만 준주거지역 용도변경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김기정 도시환경위원장은 “고도완화, 준주거완화가 사업성의 결정적 요인이냐. 연말까지 보고 오너가 결정하면 철수할 수 있다는 뉘앙스로 보인다”며 질책했고, 김 단장은 “그것은 아니다. 용적률 제고와 토지이용계획 변경, 준주거용도 변경 합의가 완료되면 그것을 갖고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것이며, 그럴 경우 내년 하반기 착공해 2017년 준공이 가능하다”고 답변했다.
김 위원장은 “시가 여러 양보를 해줬음에도 기껏 한다는 말이 오너에게 사인을 받아야 된다는 말이냐. 한심하다고 생각하지 않느냐”고 몰아세웠고, 이영인 시 도시재생과장은 “큰 이슈를 풀어줬기 때문에 내년 상반기 착공에 들어가야 된다”고 밝혔다.
심상호 의원은 “LH는 개인업체가 아니라 공기업으로 주민에게 사업추진을 약속했고, 이미 8천억원을 투자한 만큼 사업을 빨리 마무리하는게 도움이 된다”며 “2018년 입주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팔달구 고등동 270-7 일원 고등지구(36만2천655㎡)는 오는 2017년까지 공동주택 71개동 4천906세대가 들어설 예정이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