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외부 전문가를 감사인력으로 영입해 공직사회 부패 방지에 나선다.
도교육청은 14일 부패 취약분야 감시·평가 활동을 강화해 공직사회의 청렴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시민감사관제’를 운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민감사관제 도입은 2010년부터 운영해온 청렴옴부즈만제가 월 한 차례 회의를 통한 제안만으로는 실효성이 없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시민감사관은 오는 3∼4월 전문자격 소지자, 대학 및 연구기관 종사자, 4급 상당 이상 공무원 등에서 공모 또는 추천을 통해 임명되거나 위촉될 예정이다.
상근 1명을 포함, 7명 이내로 구성되며 그중에 한 명을 대표시민감사관으로 호선한다.
시민감사관들은 교육청 내부감사 업무 중 객관성과 투명성 보장이 필요한 사안에 한해 감사활동을 벌인 뒤 그 결과와 처분 요구사항을 통보한다.
공익제보와 부패관련 민원, 교육감 요청 사안 등을 감사 또는 조사하고 부패 취약분야 제도, 부패방지·청렴정책 등에 대한 의견이나 개선을 요구할 수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수요자의 교육행정 참여로 교육행정의 책임성을 강화하고 감사의 투명성을 확보해 공직사회 청렴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