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는 9일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의 성곽주변 구도심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담팀을 구성한 데 이어 연구용역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김동근 제1부시장을 단장으로 한 전담팀은 문화재관련 전문가와 공무원 등 16명으로 구성됐으며 수원시정연구원은 ‘수원화성권역 보존관리 및 활성화 연구용역’을 담당한다.
시는 전담팀의 활동성과와 연구용역을 바탕으로 문화재 보존과 활성화 방안에 대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 시민이 살기 좋고 문화재와 어울리는 도심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과도한 문화재 현상변경 허용기준으로 인한 성곽주변의 슬럼화, 개발심리 저하, 지가 하락, 주변 건축물 노후화, 상권 유출 등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개선하기로 했다.
현행법상 수원화성은 건축물의 높이나 면적에 관계없이 외곽 반경 500m까지 문화재위원회 현상변경심의를 받도록 규정, 성곽 내외부 373만6천㎡가 규제대상이다.
이는 서울 국보 1호 숭례문 성곽 반경 100m(규제면적 1만8천㎡), 광주시 남한산성 200m(59만8천㎡), 전주시 풍문 200m(1만1천㎡) 등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으로 수원화성 주변은 각종 개발사업에 제한을 받아 도시 슬럼화가 가속화되고 문화재 경관마저 크게 훼손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수원화성의 명성에 걸맞게 낙후된 성곽주변을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