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 지난 9일 열린 정례기자회견에서 “교장·교감의 수업참여는 학교의 자율적인 결정이며 도교육청은 이에 대한 공문이나 어떠한 행정행위를 하지 않을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4일 시작한 이 교육감의 주 1회 학교수업이 교장·교감의 수업참여를 압박하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는 것에 따른 해명으로 풀이되고 있다.
도교육청은 10일 “교장·교감의 수업참여는 학교 사정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할 일이지 그 방향을 공문으로 시행할 일이 아니다”며 “학교별 수업 여부에 대해서도 실태조사를 벌일 계획이 없다”고 다시한번 강조했다.
이재정 교육감도 한발 더 나아가 페이스북을 통해 “교장이 되기까지 오랜 기간 준비하신 분들”이라며 “제가 압박을 한다고 수업을 하시고 안 한다고 안 하실 분들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교장·교감의 수업참여 압박설에 대해 선을 그었다.
‘교장·교감 수업참여’도 ‘9시 등교’처럼 학교문화 개선을 통한 자발적이고 점진적인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12월 이 교육감은 “교장과 교감을 포함, 모든 교사가 수업을 하는 게 옳다”며 제도적 장치까지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 교육감은 “주당 3시간이나 6시간이 적당하다”며 “교원자격증은 녹슬지 않아야 하고 언제라도 수업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경기도교원단체총연합회, 한국초중고등학교장총연합회 등 교원단체들은 “학교현실을 모르는 탁상행정, 행정권력 남용이자 교장권 침해”라며 철회를 요구했다.
논란이 확산되자 교육부는 전국 시도교육청을 상대로 교과수업을 담당하는 교장·교감 현황조사까지 벌였으며 그 결과 도내 초·중·고교 교장 2천100여명 중 수업에 참여하는 교장은 6.3%인 142명으로 파악된바 있다.
이런 가운데 교장·교감 수업참여를 공문으로 일제 시행하는 방식을 자제하되 자율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문화가 확산되길 기대하는 눈치다.
도교육청 한 관계자는 “수업현장에서 학생들을 만나라는 취지로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자는 모습을 보는 것 자체도 학교경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교육은 교실에서, 학생에서, 현장에서 시작돼야 한다는 것이 교장 수업참여에 대한 교육감의 기조”라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