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도내 학교 내신평가 단답형 폐지·관찰평가 도입

도교육청 “수행평가 방식 내실화 학생 참여형 수업 기대”

앞으로는 경기도내 중·고교의 내신 평가에서 단답형 문항이 없어지며 한 학기에 중간·기말시험으로 치러지던 지필평가도 과목에 따라 가급적 1회만 진행된다.

또 수행평가 방식으로 학생 개개인의 수업 중 과제해결능력을 평가해 반영하는 ‘관찰평가’도 도입된다.

경기도교육청은 19일 ‘초·중·고등학교별 2015학년도 학업성적관리 시행지침’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라 중·고교는 지필평가시 단답형 형태의 문제는 아예 내지 못하도록 했으며 평가 횟수도 학기당 1∼2회로 하되 국·영·수 등 주요 과목을 제외한 수업시간이 적은 교과나 수행평가 비율이 60% 이상인 교과는 한 차례만 실시하도록 권장했다.

지필평가에서 선택형(오지선다형)을 제외한 서술형·논술형 비율은 작년 수준인 30% 이상(고등학교 3학년 교과는 20% 이상)으로 유지했다. 또 수행평가 점수가 전체 내신 성적의 50% 이상이 되도록 권장했으며 쪽지시험과 같은 일제고사 형태의 평가는 금지하고, 지필 중심의 획일적인 평가와 과제물 위주의 평가도 지양하도록 했다.

대신 정규 수업시간 중 학생들의 과제해결 능력을 살펴볼 수 있는 수행평가인 ‘관찰평가’를 적극 활용할 것을 권장했다.

관찰평가는 교과목별 담당교사가 단원별 성취수준을 단계별로 설정해 놓고 학생 개개인의 성취 정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별도의 시험이 아닌 평상시 학생들의 수업참여 태도 등을 통해 학업 이해도를 평가하는 방식이다.

이외에 평가가 특정 시기에 집중되지 않도록 최대한 분산해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했으며 초등학교는 그간 실시해 온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가치관·태도·협력 등 인성 전반을 살피는 정의적 능력평가 및 창의적 체험활동상황 평가의 내실화하도록 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과목별 지식습득만큼이나 스스로 생각하고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능력배양도 중요하다”며 “수행평가 방식을 내실화해 단순 지식전달이 아닌 학생 참여형 수업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정재훈기자 jjh2@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