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학교급식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공동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도교육청은 이를 위해 관계기관·단체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 20일 첫 회의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TF에는 경기도, 지방자치단체, 학교, 교육청, 시민단체 등에서 13명이 참여한다.
회의에서는 음식물쓰레기 발생요인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학교실정에 맞는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대책을 논의한다.
이어 이달 말 학교현장을 방문해 배식형태별 잔반량 발생원인을 분석할 예정이며 이를 토대로 5월쯤 단위학교별 맞춤형 대책을 만들어 시행할 계획이다.
학생 수 감소 추세에도 경기지역 초·중·고등학교와 특수학교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은 지난 2010년 39억7천만원, 2012년 52억4천만원, 2013년 61억7천만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3년 배식형태별로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을 분석한 결과, 교실+식당 병행배식, 식당 배식, 교실 배식 순으로 잔반량이 많이 발생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기존의 공공기관·시범학교 모범사례와 TF가 마련한 맞춤형 대책을 함께 시행하면 학교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발생량과 처리비용이 현저히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재훈기자 jj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