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주년을 맞아 온 나라가 태극기 물결을 이루며 자축하는 분위기다. 지난 15일 제70주년 광복절을 맞아 불꽃놀이와 함께 온 국민들은 국민대통합과 한반도 평화·통일의 미래를 한목소리로 기원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광복 70주년 경축사에서 광복의 완성은 민족의 통일이라며 통일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북한 DMZ 도발에 대한 단호하고 철저한 응징과 함께 대화의 필요성과 민간교류확대를 통한 남북관계 개선을 역설하였으며 북한의 동참을 촉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통령의 경축사와 여야의 논평에서 독립유공자와 그 후손들에 대한 언급은 전혀 찾아보기 어렵다.
보훈처는 1961년 창설 이후 단 한번도 독립유공자 전체 묘소에 대한 제대로 된 실태조사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올해부터 2017년까지 3년간 보훈처가 추진하는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조사 사업에도 ‘무연고 묘소’에 대한 조사와 지원방안은 빠져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정훈 의원의 지적이다. 김 의원에 따르면 전체 독립유공자 1만3천744명 가운데 국립묘지에 안장되지 못했으면서 보훈처에 등록돼 있지 않은 독립유공자는 5천582명으로 파악됐다고 한다. 나라를 되찾기 위해 헌신한 이들이 후손이 없다는 이유로 죽어서조차 예우를 못 받고 있다는 얘기다.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과는 아주 대조적이다.
오늘의 대한민국은 조국의 광복을 위해 목숨을 버렸던 독립운동가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들의 묘지조차 관리하지 않았다는 것은 광복 70주년을 경축하기에 앞서 반성해야 할 일이다. 그 후손들도 마찬가지다. 한 언론사가 생존 독립유공자 및 후손들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독립유공자 가족들의 75.2%가 월 개인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한다.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받는 연금(52만~188만원)을 빼면 순소득은 올해 1인당 최저생계비(61만7281원)에도 못 미치는 빈곤층이 대다수였다.
이처럼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나 친일행위자 후손들은 국가에 귀속된 토지를 대상으로 한 반환소송에서 여의도 면적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땅을 되찾아간 것으로 드러났다고 한다. 독립유공자 후손들은 3~4대가 대물림되는 가난으로 신음하는 반면, 친일행위자 후손들은 ‘조상땅 찾기’를 통해 물려받은 토지를 되찾아가는 아이러니컬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독립유공자의 묘지를 찾고, 그 후손들을 예우하는 정책이 아쉬운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