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9.5℃
  • 맑음강릉 13.4℃
  • 맑음서울 10.5℃
  • 맑음대전 10.3℃
  • 맑음대구 13.3℃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1℃
  • 맑음부산 13.9℃
  • 맑음고창 5.9℃
  • 맑음제주 12.4℃
  • 맑음강화 8.6℃
  • 맑음보은 6.9℃
  • 맑음금산 7.3℃
  • 맑음강진군 11.3℃
  • 맑음경주시 14.0℃
  • 맑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사설]잇단 위안화 절하 손익 꼼꼼이 따져봐야

중국이 이틀 연속 위안화 환율을 큰 폭으로 평가절하했다.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주가가 급락하고 원자재 값은 곤두박질쳤다. 중국관련 주식은 10% 이상 떨어졌다. 중국외환교역센터는 지난 11일~12일 이틀 사이 달러화 대비 위안화 환율을 1.86%, 1.62%를 연속으로 낮춰 고시했다. 중국이 수출 부진에 따른 경기 침체를 우려하고, 나아가 수출기업들에 대한 채산성 악화를 막기 위해 환율 개입에 나선 것이다.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자,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국으로 등장한 중국의 이 같은 조치는 특히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중국 위안화의 평가절하 우려는 이미 지난해 초반부터 나타났다. 당시 위안화의 하루 변동 폭이 2%에 이르는 등 불안함을 보였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위안화 절하에 대비했어야 한다. 현재로서는 긍정적인 요소보다는 부정적인 측면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가뜩이나 수출이 어려운 국내기업들의 중국에 대한 수출경쟁력이 약화될 것이 뻔하다. 그렇지 않아도 최근 일본 엔화의 약세로 힘들어했던 수출 기업들로서는 엎친 데 덮친 격이 된 거나 다름없다. 이렇게 되면 세계 여러나라들이 자신들의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 환율전쟁에 나설지도 모를 일이다.

아무튼 중국 경제가 흔들리면 우리 수출은 큰 타격을 받는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25%가 중국에서 이뤄져 그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메르스 여파로 중국관광객이 급격하게 줄었다가 최근에는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위안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중국인의 소비도 그만큼 줄어들 수밖에 없다. 여행 화장품 면세점주 등 ‘중국 특수’를 누렸던 산업이 직격탄을 맞게 된다.

그렇다고 수수방관해서는 안 된다. 위안화 평가절하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우리 경제의 손익계산서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수출기업들도 발만 동동 구르지 말고 오히려 수출을 늘리는 계기로 삼아야 할 필요가 있다. 중국에 직접 투자하는 기업들도 호재가 될 수 있기에 그렇다. 정부도 불확실성이 한층 높아진 대외 경제여건을 면밀하게 살피고 대응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우리 경제가 국내외적으로 여러 악재에 시달리는 만큼 정부와 기업은 최악의 상황도 항상 염두에 두고 전략을 수립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업들도 마찬가지다. 국제적으로 반복되는 이런 일련의 과정들을 이겨내지 못하면 안 된다. 세계 일류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혁신을 통한 경쟁력 강화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