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수도권 의원들은 10일 당 내홍과 분열을 막기 위한 막판 중재안을 제시했다.
수도권 의원들은 전날부터 문재인·안철수 공동책임 하의 비상지도체제를 출범하고 최고위 권한을 여기에 위임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중재안을 마련해 서명을 받았다.
서명에는 수도권 의원 64명 중 40여명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재안은 문 대표가 사퇴하고 안 전 대표는 탈당하지 않는 대신 ‘문·안’이 실질적 비대위 구성권을 행사하고 직접 공동비대위원장으로 참여할 가능성까지 열어놓고 있다.
문 대표가 제안한 ‘문·안·박(문재인·안철수·박원순) 연대’에 비해 안 전 대표가 지도부 구성권을 좀더 강력하게 행사하고, 문 대표가 사퇴하는 절차를 거친다는 점에서 안 전 대표의 입장을 고려했다는 것이 수도권 의원들의 설명이다.
또 문 대표는 당대표직에서 일단 물러나는 모양새를 취하긴 하지만 지도부 구성시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해 자신이 지키고자 한 ‘문재인표 혁신안’을 관철시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 재선 의원은 “당직자와 전직 대표급은 서명 대상에서 제외했다”며 “친노나 비주류 활동을 하는 의원들도 뺐기 때문에 수도권 의원이 대부분 서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인 김상희 윤관석 박홍근 의원은 이날 오전 문 대표를 만나 중재안을 설명하면서 문 대표의 대승적 결단을 호소했다.
문 대표는 “안 전 대표와 함께 가기 위해서 최대한 노력을 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안 전 대표에게도 중재안을 전달하기 위해 면담을 요청해둔 상태다.
하지만 수도권 의원들의 중재안 수용 여부에 대한 양측의 반응은 당장 나오지 않지만 온도차는 느껴진다.
주류측 최재성 총무본부장은 한 라디오에 출연해 “안 전 대표의 생각이 중요하기 때문에 그것을 선결하고 얘기가 오가는 것이 맞다고 본다”며 “모든 것은 안 전 대표의 결단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반면 안 전 대표의 비서실장을 지낸 비주류 문병호 의원은 다른 라디오에 나와 “지금 문 대표는 대표직을 내려놓음과 동시에 공동비대위원장을 맡는 안을 선호한다고 한다. 단 1초도 대표직을 내려놓은 것이 아니다”며 “문대표가 며칠 만이라도 물러나고 비대위에서 문·안을 모시자고 해서 비대위를 만드는 것은 검토할 수 있는 안”이라고 말했다./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