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안보라인 주요 인사들의 스마트폰이 북한에 해킹돼 음성통화 내용과 문자메시지 등이 탈취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터넷뱅킹이나 인터넷 카드결제 시 사용하는 보안소프트웨어 제작업체의 내부 전산망 장악과 금융권 보안솔루션 공급업체 전자인증서 탈취 등 전방위적 사이버 공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가정보원은 8일 최종일 3차장 주관으로 국무조정실, 미래창조과학부, 금융위원회, 국방부 등 14개 부처 국장급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국가사이버안전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국정원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달 말부터 3월 초 사이 주로 안보라인 주요 인사 수십 명의 스마트폰을 공격해 해킹된 스마트폰에서 통화내역, 문자메시지, 음성통화 내용 등을 가져갔다.
국정원은 북한의 공격 사실을 잡아낸 뒤 감염 스마트폰을 상대로 악성코드를 분석하고, 해킹 경로를 추적하는 등 긴급 대응 태세에 나섰다.
국정원은 또 지난달 미래부 및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협조해 북한 해킹조직이 우리 국민 2천만명 이상이 인터넷뱅킹과 인터넷 카드 결제시 사용하는 보안소프트웨어 제작업체 내부 전산망에 침투, 전산망을 장악한 것을 확인, 해당 업체와 협조해 보안조치에 들어갔으며 점검결과 업체 서버 외에 일반 국민의 피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원은 “북한이 4차 핵실험 이후 잇단 해킹 공격을 통해 우리의 사이버공간을 위협하고 있으며, 대규모 사이버테러를 준비하고 있는 정황도 포착되고 있다”면서 “관계기관들이 긴장감 속에서 대응태세를 유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