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8차 협의회 결과 주목
세월호 참사 희생자 2주기를 앞두고 안산 단원고등학교 ‘존치교실’ 문제가 극적 타결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416가족협의회와 4월16일의약속국민연대 소속 50여 명은 지난 8일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 앞에서 “가만히 있으라는 교육을 멈추고 모두를 살리는 새로운 교육으로 나아갈 것을 촉구하며 지난 10월부터 진행한 도교육청 앞 피케팅을 오늘부로 종료한다”고 밝혔다.
이날 유경근 416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도교육청, 단원고, 유가족들이 오랜 시간 수많은 논의를 해 결론을 내가는 중에 있지만 가족들이 볼 때는 여전히 미덥지 않다”면서도 “조만간 교실 존치 여부와 관련해 합의된 내용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합의내용이 어떠한 것이든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만족해서 합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느끼시면 좋을 것”이라며 “특히 교실정리 목적을 이루려고 여러 조건을 붙인 것이 사실이다. (그래도)합의를 위한 과정 중에 교육청과 학교가 많은 부분을 받아서 하겠다고 하니 그 실행을 돕는 차원에서 피케팅을 종료했지만 약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으면 끝까지 교육을 바꾸기 위한 활동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는 13일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 중재로 진행되는 존치교실 관련 8차 협의회 결과가 주목된다.
앞서 416가족협의회 참여주체 측은 지난달 8일 열린 3차 협의에서 ▲영원히 기억하겠다 ▲교육을 바꾸겠다 ▲진실 규명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 등을 담은 제안문을 채택했다.
특히 쟁점이었던 존치교실에 대해 “책걸상을 비롯한 기억물품 등을 4·16 2주기를 기해 안산교육지원청 별관으로 이관해 4·16민주시민교육원 건립 시까지 보존·전시·운영하며 단원고 추모조형물 등 기억공간을 416가족협의회와 함께 조성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에 대해 단원고학부모협의회, 도교육청, 단원고 측은 원안을 추인했으나 416가족협의회는 추인하지 않은 상태다.
유 집행위원장은 “여전히 13개 교실(당시 2학년 교실 12개, 교무실 1개)이 참사의 현장이고 새로운 교육을 실현하는 출발점이어야 한다”며 “앞으로 실행되는 과정에서 그런 취지와 목적이 실현되고 이행되게 촉구하고 참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