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부평미군기지 반납 10년 기다렸는데…”

시민단체·야권, 이전 지연 반발

더민주 인천시당

2020년 前에 반납어려울 듯

수차례 반납약속 연기로 분노



인천평화복지연대

민·관·전문가 협의사례 검토를

<속보>10년을 끌어왔던 부평미군기지 반환이 부지 오염문제 해결에 대한 책임주체와 정화범위 결정문제로 표류하며 또 다시 인천지역 현안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인천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 반환 시기가 2018년 이후로 연기될 가능성이 커지자(본보 22일자 6면 보도) 23일 시민단체와 야권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부평미군기지는 당초 2017년까지 평택으로 이전할 예정이었지만, 해당부지의 토양오염문제 해결에 따라 2018년 이후로 늦춰질 것이 확실시 되고 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은 이날 성명을 통해 “최초 2008년까지 반환하기로 했던 부평미군기지가 처음에는 대체 미군기지 조성 지연으로, 다음은 오염부지에 대한 정화해결로 차일피일 연기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최근 인천시의 설명대로라면 2020년 이전에는 반납받기 어려워 보인다”며 “수차례 반납 약속 연기로 10여년을 기다려온 시민의 분노와 허털감은 극에 달했다”고 주장했다.

더 민주당은 “유정복 인천시장은 행정 책임자로서 반납 약속을 이행 받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시민에게 설명하고 앞으로의 계획을 시민·정치권과 구체적으로 논의해야 한다”며 “부평미군기지의 조속한 반환을 위해 여·야·민·정 협의기구를 구성해 문제를 풀어갈 것”을 제안했다.

인천평화복지연대도 “부산 하야리아기지는 2006년 폐쇄되고 2014년 시민 품으로 돌아왔다”며 “하야리아 기지 공원추진 과정에서 민·관·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라운드테이블’이 운영된 사례를 적극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부평 미군기지 이전문제는 한·미 양국이 오염토지에 견해차가 발생하면 표류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어, 정부와 인천시의 통합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이정규기자 ljk@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