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를 달아, 나라사랑을 실천하는 ‘경술국치일’인 29일 경기지역 상당수 학교가 조기 게양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그 의미를 무색케 했다.
경기도는 ‘국기 게양’ 조례를 제정해 106년전 한일병합조약이 강제로 체결돼 나라 잃은 날로 기록된 경술국치일인 8월 29일, 모든 공공기관에 조기를 달아 나라 잃은 아픔을 잊지 않도록 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 학교 등은 이날 오전 7시부터 오후 12시까지 깃봉에서 깃면의 너비(세로길이)만큼 내려서 조기를 게양 했다.
그러나 정작 학생들의 역사교육을 맡은 도내 학교들이 책무를 다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빈축을 사고 있다.
이날 수원 등 도내 초·중·고 10곳을 무작위로 선정해 확인한 결과 단 3개교 만이 조기를 게양했고, 나머지 7개 학교는 평소처럼 태극기를 달았다.
앞서 지난 9일 도교육청은 산하기관과 모든 학교에 ‘경술국치일 조기게양’ 추진계획 공문을 통해 이날 오전 7시부터 자정까지 태극기를 깃봉에서 깃면의 세로길이만큼 내려서 게양하는 ‘조기’를 달아야 한다고 안내했다.
수원의 A초등학교는 “전달이 잘 안 된 것 같다. 지금이라도 조기를 달겠다”고 말했고, 용인의 B초등학교 관계자는 “공문을 받은 지 오래돼 깜빡했다”고 설명했다.
시민 이모(36·수원)씨는 “나라를 위해 헌신하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고 그분들의 나라 사랑하는 숭고한 정신과 위훈을 기리는 경건한 하루가 돼야하는데 역사교육을 가르치는 학교부터 나몰라라하고 있으니 기가 막힌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조례가 제정된 지 1년밖에 되지 않아 학교가 잘 모르는 것 같다”며 “조기게양 안내 공문도 방학 중에 나가 제대로 안내되지 않은 것 같으니 앞으로는 더 적극적으로 홍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