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부실대학’으로 평가돼 정부의 재정지원이 제한됐던 66개 대학 중 25개 대학이 구조개혁을 충실히 이행한 것으로 평가돼 재정지원을 모두 받을 수 있게 됐다.
반면 구조개혁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된 27개 대학은 전면 재정지원제한으로 ‘퇴출 위기’에 내몰릴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지난해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D, E 등급을 받았던 4년제 일반대 32개교와 전문대 34개교의 컨설팅 이행점검 결과를 발표했다.
이 중 강남대와 안양대, 평택대, 경기과학기술대, 경민대, 김포대, 동남보건대, 서일대, 수원과학대, 장안대, 여주대 등 25개 대학(1그룹)은 이행계획을 충실히 세우고 이행 실적도 우수해 재정지원 제한이 완전히 해제됐다.
서정대는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E등급을 받았으나 컨설팅 이행 점검에서 전면해제대상으로 선정됐다.
그러나 D∼E 등급 일반대 15곳, 전문대 12곳 등 27개 대학(3그룹)은 내년 정부 재정지원사업 참여가 전면 금지는 물론 기존에 선정됐던 재정지원사업의 지원금도 받을 수 없게 됐다. 또 신·편입생 학자금 대출 50∼100% 제한, 국가장학금 지원 제한도 받게 된다.
수원대를 비롯해 상지대, 청주대 등 일반대 9곳과 경북과학대, 고구려대 등 전문대 7곳은 신·편입생에게 국가장학금Ⅱ 유형 제한과 함께 학자금 대출 50% 제한 조치가 취해진다.
루터대와 신경대, 웅지세무대 등 11개 E등급 대학은 국가장학금Ⅰ·Ⅱ 유형 모두가 제한되며 신·편입생에 대한 학자금 대출도 100% 제한을 받게 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험생과 학부모는 대학 선택 시 진학하고자 하는 학자금 대출이 제한되거나 국가장학금이 지급되지 않는 대학인지를 확인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