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1천133일 만에 온전한 사람 형태의 유골이 수습·운구된 가운데 유전자 분석이 진행될 예정이다.
세월호현장수습본부는 23일 전남 목포신항에서 전날 3층 선미 좌현 객실에서 구명조끼와 옷을 입은 채 발견된 유골의 운구가 진행됐다고 밝혔다.
구명조끼와 옷을 입은 채 발견된 유골은 머리부터 발까지 사람의 모습을 간직한 채 이날 정오쯤 모두 수습됐으며, 운구는 오후 2시쯤 시작됐다.
유골은 성인용 관에 담겨 3층 객실에서 5층 전시실 바닥까지 이어진 수색로를 따라 육지로 돌아왔고, 장례지원반에 의해 리무진 장의차로 옮겨졌다.
수습본부는 온전한 형태의 유골인 점을 고려, 그 전까지 발견됐던 뼛조각을 옮길 시 국방부 유해발굴단이 맞춤형으로 제작한 나무상자를 이용한 것과 달리 처음으로 장례식 형태의 운구 절차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유골은 현재 목포신항 내부 임시안치실로 옮겨져 담당 검사 지휘로 검안·검시를 받고 있다.
수습본부 관계자는 “신원 확인을 위해 유골에서 DNA샘플을 채취,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주 본원으로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세월호 인양 후 선체 수색 과정에서 발견된 휴대전화 15대 중 3∼4대에서 데이터 일부가 복원된 것으로 알려졌다. 세월호선체조사위원회는 복원된 데이터에 대해 재생이 가능한 것이라며 오는 26일 열리는 소위원회에서 일부 공개될 예정이다.
/신병근기자 sb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