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가 사업비 부족 등을 이유로 민간개발 방식으로 전환해 추진하려하는 평택 모산골 평화공원 개발에 대해 시민단체가 개발 방식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경기남부생태교육연구소·쌀전업농평택시연합회·평택더불어포럼·평택참여자치시민연대 등으로 구성된 시민모임은 8일 평택시청 민원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모산골 평화공원을 축소하지 말고 당초 계획대로 조성하라”고 촉구했다.
시민모임은 이어 시청 민원실에 평화공원의 시 자체 조성을 촉구하며 시민 2천500명이 서명한 서명지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이들은 “평화공원 조성을 자체 개발이 아닌 민간개발 방식으로 전환하면 녹지 축소로 인한 난개발과 공원의 공적 기능 저하를 초래할 것”이라며 반대의 뜻을 밝혔다.
이를 위해 시민모임은 이달 중 토론회를 개최하고 오는 9월 모산골 평화공원 부지 내에서의 집회 등을 계획하고 있다.
시민모임 유승용 대표는 “모산골 평화공원은 시가 지난 2010년 원안대로 조성한다고 발표한 것”이라며 “뒤늦게 예산부족을 이유로 민간개발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은 시민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개발 후 공원을 조성하려면 몇 배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해도 힘들다”며 “예산이 부족하다면 시민을 대상으로 땅 한평 사기 운동, 기업체와 건설사의 자발적 기부 등을 진행, 원안대로 100% 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시는 지난달 26일 공원 조성비 1천억여 원의 예산 확보가 어렵고 오는 2020년 7월 1일 공원시설 결정이 효력을 잃게 돼 민간개발 방식으로 전환, 추진한다고 밝혔다.
민간개발은 전체 27만7천974㎡ 중 시가 1차로 개발한 4만8천㎡의 나머지 22만9천947㎡ 부지 30%를 수익 사업으로 개발하고 70%는 공원으로 조성, 시에 기부하는 방식이다.
시 관계자는 “국토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은 결정일로부터 20년 이내에 집행되지 못할 경우 실효된다”며 “예산부족으로 재정 개발이 어려움에 따라 난개발 방지를 위해 민간개발 방식으로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모산골 평화공원 개발사업은 지난 2009년부터 오는 2020년까지 1천224억 원을 들여 동삭동 일원 27만7천974㎡를 평화수호관, 평화동산, 평화수변, 힐링숲, 광장 등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평택=오원석기자 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