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수 둔 인천시
“완전공영제로 운행하겠다
준공영제 운영 NO” 강경
한발 물러선 업체
“적자 자구책 마련해보겠다”
재정지원 합의 없어 불씨 여전
지속된 적자운영에 대해 인천시의 지원을 요청하며 불거졌던 광역버스 폐선 문제와 관련, 광역버스 업체에서 스스로 폐선 신청을 철회하며 최악의 교통 대란은 피했다.
그러나 이번 사태를 야기했던 광역버스 적자 문제에 대해 시와 광역버스 업체는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과 합의가 없어 재발에 대한 우려는 상존한 채 일단락됐다.
박준하 인천시 행정부시장은 16일 오후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만약 광역버스 운행이 어려운 상황이 오게 되면 완전공영제로 가겠다”며 “광역버스 업체가 폐선을 다시 신청하면 받아들이고, 완전공영제 하에서 효율적인 버스 운행과 운전사 처우를 개선하는 등 세금을 효율적으로 쓰는 방향으로 가겠다”고 시의 공식입장을 밝혔다.
이어 “광역버스 업체들이 요구했던 준공영제로의 운영은 현재에도, 그리고 앞으로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재확인했다.
앞서 폐선을 신청했던 광역버스 6개 업체는 이날 시 교통국장과 박남춘 인천시장을 연이어 만났다.
이 자리에서 박 시장은 “시와 미리 협의없이 시민의 대중교통권을 볼모로 폐선을 신청한 것은 너무한 처사”였다며,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받아들일 수 없으며, 적자난을 사유로 폐선을 요청하면 받아들이겠다”고 광역버스 업체에게 통보했다.
이어 시 교통국장도 “업체들이 광역버스 운행을 중단하면, 21일부터 기존 운행되던 버스와 운전기사들을 임시 고용해 12월까지 운행 후 교통공사가 운행하는 완전공영제로 광역버스를 운행하겠다”는 대책도 내놓았다.
일관된 시의 강경한 입장과 대응에 인천 광역버스 업체들은 “적자에 대한 자구책을 마련해 보겠다”며 폐선 신청도 결국 철회하며, 이번 폐선 문제는 일단락됐다.
그러나 광역버스 업계에서는 “시내버스는 연간 1천억 원의 예산을 지원받는데 반해, 광역버스는 적자가 누적되고 있는 데도 시에서 예산 지원을 할 수 없다”며, “차별과 강경 대응하는 것은 전형적인 ‘갑질’이다”라고 비판했다.
한편, 광역버스 업계는 올해 실시된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적자난에 허덕이고 있다며 재정지원을 지속해서 호소해 왔다./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