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조현병 환자가 저지르는 범죄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어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질환자에 대한 치료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6일 인천 중부경찰서에 따르면 전날 오전 11시 40분쯤 인천시 동구 한 공원 앞 도로에서 A(58·남)씨가 행인 2명을 흉기로 찔렀다.
피해자들은 곧바로 병원에 옮겨졌지만 목 부위를 찔린 1명은 아직 의식이 돌아오지 않아 위중한 상태며 얼굴을 찔린 1명은 치료를 받고 퇴원했다.
조사 결과 A씨는 이들과 전혀 모르는 사이였으며 그는 조현병 증상으로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정신병원에 입원했다가 퇴원한 뒤 지난 5월까지 인천 한 복지 시설에 머문 것으로 확인됐다.
불과 20일 전에는 조현병을 앓던 20대 아들이 인천시 부평구 한 아파트에서 어머니를 흉기로 무참히 살해하고 여동생에게도 상해를 입혔다.
경찰청에 따르면 조현병을 포함한 정신장애 범죄자 수는 2013년 5천858명에서 2014년 6천265명, 2015년 6천980명, 2016년 8천287명, 2017년 9천27명으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며 재범률은 65%로 전체 범죄대비 20% 가까이 높다.
불안감을 느낀 시민들은 청와대 국민 청원에 조현증을 비롯한 정신질환 범죄자에 대해 동등한 처벌을 요구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김재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교수는 “비슷한 범죄가 일어날 때마다 조현병 환자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위험한 사람’이라는 편견이 강화된다”며 “대다수 환자와 그 가족들은 오히려 이런 낙인 때문에 치료를 꺼리게 되는 현상도 발생한다. 만성 환자를 국가가 돌봐줄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인천=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