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맑음동두천 24.0℃
  • 맑음강릉 22.4℃
  • 구름조금서울 24.5℃
  • 구름많음대전 24.3℃
  • 구름많음대구 27.3℃
  • 흐림울산 26.2℃
  • 흐림광주 23.7℃
  • 부산 23.3℃
  • 흐림고창 23.4℃
  • 흐림제주 26.2℃
  • 맑음강화 22.4℃
  • 흐림보은 23.8℃
  • 흐림금산 24.2℃
  • 흐림강진군 23.9℃
  • 흐림경주시 26.6℃
  • 흐림거제 23.1℃
기상청 제공

“경기도형 스마트시티 육성 필요”

경과원, R&D보고서에서 주장

경기도 차원의 자체적 스마트시트 R&D(연구개발) 지원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정책 방향은 도민의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춘 ‘리빙랩(Living Lab)’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도시문제 해결형이 요구됐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이같은 내용의 ‘경기도 스마트시티 육성을 위한 R&D 지원방안’ 보고서를 26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도민과 시·군 관계자, 전문가 그룹 등 각 계층의 의견을 분석해 마련했다.

보고서는 우선 판교·광교테크노밸리 등 경기남부 혁신클러스터를 활용한 경기도형 선진 스마트시티 모델 발굴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특히 경기도형 스마트시티는 각 시·군별 특성을 고려한 도시문제 해결형 방식으로 도와 시·군,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 등이 함께 문제해결에 동참하는 실증형 정책협력 모델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 중장기전략 수립, 정책 활성화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구체적 실행 방안으로는 ▲경기도 스마트시티 시범지구 조성 ▲스마트시티 기술개발(R&D) 프로젝트 추진 ▲지역문제 특화형 경기스마트시티 리빙랩 사업 추진 ▲광교테크노밸리 스마트헬스 리빙랩 사업 추진 ▲블록체인 적용 경기페이(E-GPAY) 도입 ▲경기도형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플랫폼 연구개발 추진 등을 제안했다.

경과원 연구책임자는 “경기도가 앞장서 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스마트시티 육성 R&D 지원정책을 실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경과원이 지난해 말 도민과 시·군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응답한 도민의 65.9%가 스마트시티 정책추진이 필요하다고, 시·군 관계자의 83.9%가 도 차원의 정책추진이 필요하다고 각각 응답했다.

보고서의 자세한 내용은 경과원 홈페이지(www.gbsa.or.kr) 정보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임하연기자 lft13@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