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18 (목)

  • 흐림동두천 23.7℃
  • 흐림강릉 25.3℃
  • 서울 24.3℃
  • 대전 25.9℃
  • 흐림대구 29.5℃
  • 흐림울산 27.8℃
  • 흐림광주 28.1℃
  • 흐림부산 26.6℃
  • 흐림고창 28.0℃
  • 구름많음제주 33.5℃
  • 흐림강화 24.5℃
  • 흐림보은 26.1℃
  • 흐림금산 28.0℃
  • 흐림강진군 29.1℃
  • 흐림경주시 28.4℃
  • 흐림거제 26.6℃
기상청 제공

몰려드는 대출 수요, 부채 리스크도 커지나

5대 은행 신용대출 잔액 약 134조원
각종 규제 내놔도 대출 수요 증가세
부동산·주식 쏠림...“리스크 경계해야”
“소득 개선 미약할 시 부실위험 유의해야”

 

새해 다시금 열린 신용대출로 수요가 몰려들어 가계 부채 증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4일 중단됐던 신용대출이 재개되자, 당일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은 133조9280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5일에는 133조9927억원인 것으로 집계돼, 단 하루 만에 647억원이 늘어났다. 지난해 12월 31일 신용대출이 133조6482억원이던 것과 비교해 3445억원이나 증가한 것이다.

 

금융당국은 이 같은 대출 증가 우려를 막고자 지난해 11월 30일 가계대출 관리방안을 시행해 대출 증가세를 둔화시키려했다. 은행권도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총량을 관리하라는 경고를 따라,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신용대출을 일제히 중단했다.

 

직장인 신용대출 금지부터 대출 한도 축소, 대출금리 인상 및 우대금리 폐지 등 가계 대출 증가 속도를 억제하고자 모든 수단이 총동원됐다.

 

은행권의 대출 조이기는 새해에 접어들면서 다시금 열렸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기 불황과 막혀있던 대출규제의 일제 재개가 한 번에 풀린 탓인지, 대출 수요는 연일 증가세로 다시 돌아서는 모양이다.

 

여기에 지난해 12월 BIS(국제결제은행)은 한국의 가계 및 기업 등 민간부문 부채 위험도에 대해 ‘주의’에서 ‘경보’로 11년 만에 그 단계를 높이는 등, 가계 부채 부문에는 적색등이 켜진 상태다. 지난해 2분기 기준 한국의 신용-갭(Credit to GDP gap, 국내총생산 대비 민간신용 차지 비율)이 전 분기 대비 4.4%P 높아진 13.8%P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신용갭은 10%P 초과하면 ‘경고’ 단계로 나뉜다.

 

최근의 대출 증가 현상 원인으로는 코로나19 경제여파로 인한 취약계층의 신용대출이 거론되나, 무엇보다 시중 유동성과 주식·주택 자산으로의 쏠림 현상이 지목받고 있다. 금융 당국이 지난해 말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및 대출 한도 등 규제를 달아도, 전셋값·청약 등 주택 자금 마련 및 주식 매수를 위한 투자금 수요가 부동산·주식 시장으로의 자산 대이동 현상을 막기에는 부족하다는 이유다.

 

금융 당국은 새해부터 대출 증가로 인한 위험을 경고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5일 ‘2021년 범금융권 신년사’에서 “정책당국, 금융권의 유동성 공급과 이자상환 유예조치 등으로 잠재된 리스크가 올해 본격 드러날 것”이라며 “높은 수준의 경계감을 가져야한다”라고 직접 주의를 줬다.

 

이 같은 분석들은 자칫 자산 거품과 대출 부실이란 우려 섞인 전망으로 모이는 상황이다. 지난해 12월 한국은행이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가계 신용은 지난해 3/4분기말 1682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 늘어나는 등 고신용·고소득 차주 비중이 확대되고 연체율이 하락했다.

 

반면 코로나19로 GDP 성장세가 둔화된 상태에서 경기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한 민간의 자금수요 확대가 다른 형태로 되돌아올 가능성도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가계대출의 건전성도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소득여건 개선이 미약할 경우 취약가구를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늘어날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 경기신문 = 현지용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