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8회 지방선거가 1년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지방선거 시계’가 바삐 돌아가고 있다.
지방선거가 1년여 이상 남았지만 당내 경선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등 정치권에서 ‘당원 확보’ 전쟁이 불붙었기 때문이다.
4일 지역정가에 따르면 민주당은 당규에는 '권리행사 시행일로부터 6개월 이전까지 입당한 권리 당원 중 권리행사 시행일 전 12개월 이내에 6회 이상 당비를 낸 자'로 규정하고 있다.
지난 4·15 총선에서 '경선을 원칙'으로 공천룰을 세운 민주당은 차기 지선에서도 같은 룰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지선 전인 내년 3월 말 경선 일정을 고려하면 권리 당원 인정 시점은 오는 9월 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선거일은 멀었으나 출마 예정자들이 권리당원을 확보할 수 있는 시간은 200여 일 밖에 안 남았다. 권리 당원 확보가 발등의 불인 이유다.
차기 지선 출마를 노리는 후보군들은 이미 권리당원 모집에 착수한 상태다. 현 단체장과 지방의원들뿐만 아니라 출마 예정자들도 권리당원 선점을 위한 당원 확보 경쟁이 치열하다.
더욱이 내년 3월 대통령 선거 전 후보 경선이 예정돼 있어 대선 후보 지원과 본인의 지선 출마를 위한, 이른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전략으로 다수 후보군이 대비 중이다.
국민의힘 출마 예정자들도 책임당원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책임 당원은 100% 경선에 참여가 가능하지만, 일반당원은 경우에 따라 추첨으로 경선에 참여할 수 있다. 또 책임당원을 늘리는 것은 '당 기여도'를 측정하는 근거가 되기에 공천에 유리하게 작용될 수 있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현직은 물론 예비주자들도 벌써 선거전에 돌입했다고 보는 게 맞다. 특히 대선과 맞물려 있는 만큼 공천권 확보를 위해 더 많은 활동이 필요할 것”이라며 “기반이 튼튼해야 본선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만큼 결국 미리 준비한 자가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