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18 (목)

  • 흐림동두천 23.7℃
  • 흐림강릉 25.3℃
  • 서울 24.3℃
  • 대전 25.9℃
  • 흐림대구 29.5℃
  • 흐림울산 27.8℃
  • 흐림광주 28.1℃
  • 흐림부산 26.6℃
  • 흐림고창 28.0℃
  • 구름많음제주 33.5℃
  • 흐림강화 24.5℃
  • 흐림보은 26.1℃
  • 흐림금산 28.0℃
  • 흐림강진군 29.1℃
  • 흐림경주시 28.4℃
  • 흐림거제 26.6℃
기상청 제공

[창간특집] 미래 ‘희망’ 담은 친환경차…구매 최적기는?

 

바야흐로 친환경차 시대가 도래했다.

 

폭스바겐, 다임러, 제네럴모터스(GM), 포드 등 전 세계의 내로라하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내연기관을 버리고 탄소 중립을 강조하며 친환경차로 전환하고 있다.

 

국내 친환경차 보급은 2016년 말 24만대에서 2020년 말 82만대로 3.4배 증가했다. 현재 자동차 시장은 내연기관에서 친환경으로 전환되는 반환점인 셈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친환경 차량을 구매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딜로이트가 소비자 906명을 대상으로 ‘다음 차량으로 구매할 파워트레인에 대한 소비자 조사‘ 결과 내연기관이 43%로 가장 높았으며, 하이브리드(35%), 전기차(11%)가 뒤를 이었다. 

 

◇ 소비자들이 구매를 망설이는 친환경차의 약점

 

친환경차 구매를 앞둔 소비자들은 충전 인프라 부족 때문에 구매를 망설인다고 한다.

 

국내의 전기차와 수소차의 보급은 빠르게 늘어나고 있지만 지금도 충전 인프라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 전기차 급속충전기는 지난해 9월 기준 8989기로 13만대가 넘는 전기차를 충전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다.

 

전기차의 경우 주행거리가 약 250km~ 500km정도라서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충전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또한 충전시간도 급속 1시간, 완속 8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거주지 이외에 외부에서 운영되고 있는 충전 스테이션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아지게 된다. 

 

친환경차 중 수소차의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수소 차량은 2020년 기준 1만1000대가 등록 됐지만 수소 충전소는 전국에 단 55개만 존재한다.

 

이외에도 차량 정비 시설 또한 부족하다. 전기차 정비소는 2019년 기준 1100곳이며, 수소차 정비소는 단, 10곳이다. 

 

전기차와 수소차의 경우 엔진과 샤프트를 사용하던 내연기관과 달리 배터리와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관련 지식이 없는 일반 정비소는 수리가 절대 불가능하다.

 

◇ 정부가 생각하는 친환경차의 문제

 

앞서 언급한 친환경차의 문제가 있음에도 정부는 보조금을 지급하며 친환경차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완성차 업체들 역시 앞다퉈 친환경차의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그동안 공들여 개발하던 내연기관을 새로운 영역인 친환경차로 전환하는 이유는 지난 2015년 195개 당사국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파리기후변화협약을 맺었기 때문이다.

 

파리기후변화협약은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국제 사회의 환경규제로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지구 평균 온도가 2도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자동차 평균 온실가스 배출 기준을 현행 1km 당 97g에서 2030년까지 70g으로 감소시켜야 한다.

 

만약 온실가스 기준을 미달성할 경우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과징금 부과 대상이된다.

 

환경부에 따르면 1600cc 휘발류 차량의 경우 1km 당 106g의 탄소를 배출하며 1600cc 하이브리드(74g), 수소(0g), 전기(0g)가 뒤를 이었다.

 

2021년 기준 휘발류 차량만이 온실가스 배출 기준을 초과했으며, 친환경 차량인 하이브리드, 수소, 전기차의 경우 2030년 온실가스 배출 기준에도 합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소차와 전기차의 실상은 전혀 친환경적이지 않다.

 

수소차와 전기차에 사용되는 연료와 배터리를 생산하는데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주행 및 연료생산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합산한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자동차 종류별 이산화탄소량’에 따르면 휘발류 차량은 1km 당 192g, 하이브리드 141g, 수소 143g, 전기 94g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 기준에 맞는 차량은 전기차 뿐이며, 2030년 기준에 해당하는 모델은 없는 상황이다.

 

현재 친환경차로의 전환은 전 세계적인 추세로, 완성차 업체는 이르면 2025년부터 내연기관차 생산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하며 내연기관의 단종을 선언했다.

 

이에 정부는 친환경차 보급에 발맞춰 지난해 7월 그린 뉴딜 계획을 발표하며 인프라 확장 및 친환경 에너지 개발을 추진했다.

 

우선 소비자들의 불만이 가장 많은 충전소를 확충한다. 고속도로 휴게소나 주유소 등 접근성이 높은 거점을 대상으로 전기차 급속충전기 2280개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전국의 주유소도 본격화될 친환경차 시대를 대비하는 분위기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 정유·가스 공급 6사가 전기·수소차 등 ‘미래차 충전시설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2025년까지 주유소 및 LPG충전소에 전기차 급속충전기 750개, 수소차 충전소 114개를 구축할 예정이다.

 

친환경차에 연료를 생산하기 위해 발생하는 온실가스도 감축한다.


정부는 현재 전력을 생산하는 LNG가스(32.3%), 석탄(28.1)%, 원자력(18.2%), 신재생에너지(15.8%) 중 온실가스를 생성하는 주 원인인 LNG와 석탄의 비율을 줄이고 2030년까지 신재생 에너지 비중을 33.6%까지 늘려 온실가스를 감축할 예정이다.

 

수소의 경우 석유화학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를 활용하는 방안과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그린 수소를 통해 온실가스를 줄일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그는 “주행거리, 충전, 인프라 등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다”며 전기차와 수소차를 구매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보였다.

이어 “지금 가장 안정기에 들어선 친환경차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다”라며 친환경차 중 하이브리드 차량 구매를 추천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를 친환경차로 추진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수소차에 대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며 “앞으로 친환경차를 리드할 연료가 무엇이 될지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오재우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