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18 (목)

  • 흐림동두천 22.6℃
  • 흐림강릉 29.3℃
  • 서울 23.3℃
  • 흐림대전 27.4℃
  • 흐림대구 28.8℃
  • 흐림울산 27.9℃
  • 흐림광주 27.1℃
  • 흐림부산 25.2℃
  • 흐림고창 28.0℃
  • 흐림제주 31.4℃
  • 흐림강화 23.5℃
  • 흐림보은 26.2℃
  • 흐림금산 27.8℃
  • 흐림강진군 27.4℃
  • 흐림경주시 28.1℃
  • 구름많음거제 26.0℃
기상청 제공

[창간특집] 가상화폐란 ‘희망’ 미래화폐 가치의 명과 암

2030 세대 10명 중 1명은 ‘코인러’
N포세대 남은 희망, 가상화폐 ‘한 방’
디지털화폐, 미래 화폐의 희망으로

 

2021년 상반기는 ‘코인의 해’라 불러도 과언이 아니다. 2030 청년세대 가상화폐 열풍부터 각국 정부·전문가의 가상화폐 비판 및 대안 모색이 활발히 이뤄졌기 때문이다. 한국 청년 세대의 ‘희망’이 된 가상화폐 열풍부터 새 시대, 새 화폐의 ‘희망’이 된 디지털화폐(CBDC)로의 전환을 돌아본다. [편집자 주]

 

◇ 2030세대 10명 중 1명은 가상화폐 투자자

 

올해 상반기는 가상화폐 역사상 최고가, 최대 낙폭을 동시에 기록한 시기다. 대표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의 최고가는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 기준 지난 4월 13일 오후 8시 20분 1코인당 8040만5000원이었다. 반면 최대 낙폭은 지난달 11일 오전 11시 기준 4374만2000원으로 역대 최고가 대비 46%, 절반가량이 급락했다.

 

이러한 가상화폐 대호황·대폭락에 가장 크게 웃고 우는 투자자는 2030 청년세대다. 권은희 국민의당 의원이 지난 4월 금융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4대 가상화폐 거래소의 신규 가입자 249만5000명 중 158만5000명(63.5%)가 2030세대로 집계됐다.

 

2030 청년 세대 인구 1354만명(20대 675만4283명, 30대 678만8072명) 대비로 비교하면 전체의 11.7%, 청년 10명 중 1명이 가상화폐 투자자인 셈이다. 지난달 2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발표로 집계된 전체 가상화폐 거래소 전체 가입자 수(4월 말 기준)가 581만명인 것을 감안하면, 청년 세대의 가상화폐 거래자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 부동산·주식보다 빠르고, 쉽고, ‘한 방’ 가능한 코인

 

가상화폐 투자 부동산·주식 투자보다 진입장벽이 낮다는 특징으로 청년 세대의 인기를 끄는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종합주택의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달 기준 3억5655만6000원을 기록했고, 통계청 자료에서 전체 주택 소유자(1433만6000명) 중 40~60대가 68.3%(▲40대 23.1% ▲50대 25.7% ▲60대 19.5%)를 차지했다. 30대는 12.1%, 30세 미만은 2% 미만에 그쳤다.

 

주식도 마찬가지다. 한국예탁결제원의 ‘’2020년 12월 결산 상장법인 소유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352개 상장 주식 소유자 중 개인 소유자는 910만7228명으로 이 중 4050세대가 전체의 44.2%(419만4923명)를 차지했다. 20대(11.8%, 107만1086명)와 30대(19.9%, 181만2487명)도 코로나19발 주식 열풍으로 투자자 수가 급등했으나, 보유주식 면에서 4050세대는 합계 58.4%를 차지했다.

 

가상화폐는 주식보다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고위험 고소득’이란 장단점을 갖고 있다. 반면 가상화폐는 주식처럼 거래시간에 제한이 없고 주식·부동산보다 즉각적인 수익을 낼 수 있어 투자 접근성, 고수익, 신속성 등 이점을 가진다. 자산별 투자 현황을 바탕으로 세대별 투자 성향을 감안한다면, 가상화폐는 대체투자를 넘어 사실상 2030 청년층의 주요 투자자산으로 자리 잡힌 모양새다.

 

 

◇ N포 세대 코인이란 ‘동앗줄’…“희망이라 여기고 하루 버텨”

 

반면 그 이면에는 경제위기 속 가상화폐가 ‘동아줄’이 된 청년 세대의 경제난 문제가 깊게 자리잡혀있다. 코로나19까지 겹쳐 더욱 악화된 취업난과 부동산 가격 폭등, 빈부격차가 가상화폐에 대한 청년 세대의 투자 광풍을 일으켰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3포(연애·결혼·출산 포기)’에 이어 ‘N포(연애·결혼·출산·인간관계·내 집 마련 포기)’까지 번진 청년세대 경제난에 가상화폐 투자가 사실상 유일한 희망이자 계층이동 수단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지난해부터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에 투자해 온 30대 A씨는 “리스크 때문에 남들이 투기라 부르는 것도 이해한다. 하지만 달리 말하자면 코인 말고는 제시할 대안이 있는가. 정부도 어느 누구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금 (청년) 세대는 정년퇴직까지 죽어라 일해도 내 집 장만이 안된다. 희망이 안 보이는 시대에 이것(가상화폐 투자)을 희망이라 여기고 하루를 버티는 것”이라 말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더더욱 우울할 것으로 보인다. 가상화폐 역사에서 고점 대비 가격 폭락은 ‘잔인한 5월’이라 불리는 지난달 가상화폐 대폭락을 제외하면 총 4차례 있었다. 가상화폐 전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이 80% 이상 폭락한 때는 ▲2010년 9~10월(94%) ▲2011년 6~11월(94%) ▲2013년 11월~2015년 1월(85%) ▲2017년 12월~2018년 12월(84%)이었다.

 

◇ 가상화폐 부작용 대안 ‘디지털화폐’

 

가상화폐 대폭락의 우려 때문일까, 아니면 가상화폐가 가진 특성과 악용 때문일까. 각국 정부는 최근 가상화폐 비판·규제를 넘어 중앙 정부가 발행하고 관리하는 가상화폐인 ‘디지털 화폐(CBDC)’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디지털화폐는 가상화폐가 민간에서 채굴해 유통하는 방식과 달리, 중앙은행에서 전자적 형태로 발행하고 관리하는 국가 공인 화폐이자 자산이다. 가격 변동성 측면에서 민간 가상화폐보다 안전한 자산이자, 중앙은행의 기록·추적·통제 등 투명한 관리의 용이함을 갖고 있다. 현실화할 경우 통장이 카드로 대체됐듯, 미래에 지폐·주화 등 현금을 대체할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의 지난해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65개 중앙은행 중 CBDC 연구를 진행하는 은행들은 86%에 달할 정도다. 선두주자인 중국과 무역 패권전쟁을 벌이는 미국이 뛰어들고, 한국 정부도 미국과 보폭을 맞추고자 지난 4월 28일 한국은행 CBDC 모의실험 추진을 뒤늦게 시작했다.

 

 

◇ 국가 공인 가상화폐, 이면은 ‘디지털 쩐의 전쟁’

 

민간 가상화폐는 가격 변동성 및 이로 인한 투기 위험, 특히 익명성에 대한 악용 문제로 비판받고 있다. 세계 비트코인의 65%를 채굴하는 중국이 최근 내몽고자치구에 가상화폐 채굴장 단속을 실시한데 이어, 미국 재무부 산하 독립기관이자 금융기업 규제를 담당하는 통화감독청(OCC)의 마이클 슈 청장 대행은 외신을 통해 “가상화폐 규제의 경계를 설정하는데 정부 기관들이 협력하길 기대한다”고 규제 강화 시사성 발언을 했다.

 

반면 민간 가상화폐 규제와 함께 디지털화폐 개발에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이 뛰어드는 양상에는 이보다 더 심층적인 이유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국제정치적·세계경제적 관점에서 본다면 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 교수의 말처럼 ‘디지털 쩐의 전쟁’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초강대국인 미국의 자리를 위협하는 신흥 강대국인 중국에게 국제단위 금융 거래의 기준인 기축통화, 미국 달러와 경쟁할 수 있는 분야는 디지털화폐다. 이를 바탕으로 본다면 중앙정부의 민간 가상화폐 규제·단속은 전자화폐 권력을 디지털화폐, 중앙정부로 흡수시키겠단 의도이자, 미래 국가별 전자 화폐권력을 대비한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 계층이동 사다리, 미래 화폐 ‘희망’이 된 가상화폐

 

정부 주도의 가상화폐 규제와 디지털화폐 강화는 역설적으로 가상화폐 수요를 높이기도 한다. 자산정보 보호-익명성을 지닌 가상화폐는 변동성이 높을지라도 조세, 재산 추적을 회피하려는 보유자들에게는 매력적인 안전 자산이기 때문이다.

 

종합적으로 살필 때 가상화폐는 투기 비판에도 현물·현금을 넘어 명실상부한 자산으로 공고화됐다. 계층이동 사다리의 유일한 희망이자 미래 화폐 시대의 희망이 된 가상화폐가 올해 하반기에는 어떤 모습을 보일지,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경기신문 = 현지용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