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인천지역본부는 중소조선산업의 올해 말 경영실적은 저조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중기중앙회가 국내 중소조선산업 관련 제조업 30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선업종 경영실태' 조사 결과로 응답기업의 46.7%가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악화예상이 38.0%, 호전예상은 15.3%로 각각 조사됐다.
응답자의 ‘호전’ 전망은 ‘중·소형 선박수주 확대’(39.1%), ‘중소 조선소 원부자재 납품확대’(37.0%) 등 순이었으며 ‘악화’ 전망은 ‘일감부족’(86.0%), ‘원부자재 가격 상승에도 납품단가 동결.인하’(50.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와 비교해, 자금조달 여건(복수응답) 10곳 중 7곳이 ‘기존 대출/보증의 만기 연장이 가능하다’(69.7%)고 응답했으나 22.3%는 대출·보증 한도축소에 애로가 있다고 답했다.
금융애로 해소를 위해 가장 절실한 정책으로는 ‘금리인하’(68.7%)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신용 및 담보 평가기준 완화’(54.3%), ‘지자체·대기업·금융기관 등이 참여하는 상생펀드 확대’(21.7%)가 뒤를 이었다.
또 선수금 환급보증제도(RG)를 알고 있느냐는 문항에서 10곳 중 8곳(83.0%)이 ‘모른다’고 응답해 제도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효성이 부족했으며 ‘과도한 서류 요구’(25.5%), ‘보증한도액 부족’(21.6%)도 애로사항으로 지적했다.
업체들은 공급 납품단가에 대해 절반 이상(58.7%)이 원가상승률이 ‘납품단가에 반영되지 않는다’ 며, 그 이유로 ‘국내·외 선박 저가수주 경쟁 심화’(27.8%), ‘발주처의 과당경쟁 유도’(24.4%), ‘관급선박 최저가낙찰제에 따른 과당경쟁’(19.3%) 등을 꼽았다.
업계의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납품단가 현실화 지원방안 수립 및 활성화’라는 응답이 82.7%에 달했고 ‘관급물량 확보 및 해양플랜트 제작 등을 통한 일감지원’(48.3%), ‘수출상담회·무역사절단 참여 지원(12.7%)’ 순으로 조사됐다.
추문갑 중앙회 본부장은 “국내 조선산업의 사상 최대 수주실적에도 불구하고 경영의 어려움은 지속될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며 “중소기업의 수익을 악화시키는 최저가낙찰제 유도 조항 개선과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을 비롯해 선수금 환급보증제도 활성화 등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인천=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