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흐림동두천 22.9℃
  • 흐림강릉 26.2℃
  • 서울 24.3℃
  • 대전 22.8℃
  • 대구 23.2℃
  • 울산 22.8℃
  • 광주 24.2℃
  • 부산 23.5℃
  • 흐림고창 25.4℃
  • 흐림제주 28.2℃
  • 흐림강화 22.8℃
  • 흐림보은 22.6℃
  • 흐림금산 22.3℃
  • 흐림강진군 24.5℃
  • 흐림경주시 23.5℃
  • 흐림거제 24.3℃
기상청 제공

정부 부동산 정책 발표때마다 서울→경기 거래량 ‘들썩’

경기지역 아파트 거래, 서울시민 15% 차지
역대 부동산 규제 날 때마다 거래건수 증가
“공급규제·수요억제 규제에 ‘이제는 사자’식”

 

정부의 각종 부동산 규제로 집값이 상승하며 한계를 느낀 서울시민의 경기지역 부동산 매입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이같은 지표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발표될 때마다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부동산원의 월별 매입자거주지별 아파트 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 1월부터 올해 7월까지 이뤄진 아파트 전체 거래건수(경기지역 기준)는 191만7639건이다. 이 중 서울 시민의 경기지역 아파트 매매 건수는 28만9603건으로 전체의 15.1%를 차지했다.

 

기간 동안 정부는 2017년 투기지구 지정 및 재건축·규제를 담은 8.2대책을 시작해, 2018년 9.13 종합대책, 2020년 7.10대책 등 각종 부동산 규제 방안을 내놨는데, 정부의 새로운 정책이 나올 때마다 서울 시민의 경기지역 부동산 원정 매입 현상은 크게 도드라졌다.

 

2017년 6~8월 이전 기간 동안 서울 시민의 경기지역 아파트 거래 건수는 평균 3000건대 안팎이었던 반면, 같은 해 6.19 조정대상지역 및 8.2 투기 억제 대책이 세워지던 6~8월 기간 동안 평균 6262건 가량 급증했다.

 

2018년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및 투기지역 지정 등 주택시장 안정대책이 세워지던 8~10월도 마찬가지였다. 전년 대책의 여파로 평균 5000대 중후반까지 오른 서울 시민의 경기지역 아파트 거래건수는 해당 3개월 동안 평균 6909건으로 7000건대까지 근접했다.

 

특히 지난해 6월(8386건, 16.1%)·7월(9134건, 17.4%)·12월(8855건, 17.5%)에는 서울 시민 거래 건수의 역대 최대치를 기록해, 전체 평균치를 넘어서기도 했다. 셋 모두 지난해 6.17 투기과열지구 전세대출 차단, 7.10 종부세·양도세 인상 및 임대사업자 등록 폐지 등 주요 부동산 대책 발표의 여파가 났던 시기다.

 

경기지역 부동산 업자들 또한 현장에서 서울 시민들의 부동산 문의가 늘어난 추세라 말한다. 경기 성남시 분당의 공인중개사 문 모씨는 9일 “서울 사람들이 기존의 집을 팔고 분당·동탄 등 판교 밑으로 가는 추세”라 말했다.

 

경기 광명시 일직동의 공인중개사 김 모씨도 “최근에는 전체 문의 중 60%가 서울 사람들이다. 지금은 가격이 많이 올라서 ‘서울과 차이가 없다’는 말도 있으나, 역대 규제로 초창기부터 매매 문의가 많이 들어왔다”며 “지금까지 그래왔고, 앞으로도 규제 따라 서울에서 밀린 수요층 문의가 커질 것”이라 답했다.

 

 

서울 시민의 경기지역 부동산 매입은 주로 서울과 인접해 있는 지역 중심으로 이뤄졌다.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거래 자료를 살펴보면 주요 시·군·구별 서울 시민의 경기지역 아파트 거래 건수 최다 지역으로는 2017년 1월부터 올해 7월까지 고양(2만8330건), 남양주(2만7321건), 김포(2만4840건), 용인(2만2422건)으로 집계됐다.

 

1만 건 이상 거래된 도내 시·군의 경우 의정부(1만7900건), 하남(1만6461건), 부천(1만2422건)이 가장 많았으나, 경기남부 지역에서는 성남(1만6392건)·화성(1만3137건)·시흥(1만2329건)·수원(1만2251건)·평택(1만1045건) 등이 몰려 있었다.

 

이와관련 이혜리 도시계획연구소 이사는 “강남·서초 지역 평당 단가가 7000만원이 되면서 송파 등 옆은 5000만원대, 수도권 경계선 지역도 3000만원대로 오르는 등 부동산 가격 상승이 경기권까지 밀린 상황”이라며 “가격 상승 전망은 계속되고 서울 공급은 씨가 말랐다. 대출 규제까지 나오니, 한계점까지 밀린 수요층이 사는 쪽으로 가세한 것”이라 분석했다.

 

그러면서 “각종 규제로 한계에 이른 자금 확보, 계속되는 가격 상승세, 수도권 외곽까지 밀려날 수 있다는 공포감이 수요층에게 ‘이제는 사야한다’다는 판단으로 (경기지역 아파트 매매에) 이르게 된 것”이라 설명했다.

 

[ 경기신문 = 현지용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