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5 (화)

  • 구름조금동두천 26.7℃
  • 구름많음강릉 28.5℃
  • 구름많음서울 27.0℃
  • 구름많음대전 25.1℃
  • 구름많음대구 27.8℃
  • 구름많음울산 26.7℃
  • 구름많음광주 27.2℃
  • 흐림부산 26.2℃
  • 흐림고창 27.6℃
  • 흐림제주 23.3℃
  • 맑음강화 24.8℃
  • 흐림보은 23.4℃
  • 흐림금산 25.6℃
  • 흐림강진군 25.7℃
  • 흐림경주시 27.1℃
  • 흐림거제 25.5℃
기상청 제공

[기자의 창] 퇴직금으로 50억원·아파트…청년층 한숨의 끝은

전·현직 고위공직자의 아들·딸이 개발 사업 특혜 의혹을 받은 회사에서 거액의 퇴직금을 받았다는 화천대유 논란으로 세상을 들썩하게 만들고 있다.

 

필자는 취재를 통해 알게 된 모 노동권 활동가로부터 해당 논란에 대한 개인적인 한탄을 들었다.

 

전직 검사의 딸이 수억원의 퇴직금과 아파트 분양을 받을 때, “동년배 청년 노동자들은 사업주의 ‘배째’식 적반하장으로 몇 백만원의 퇴직금조차 제대로 받지 못한다”고 그는 이야기였다.

 

그를 더욱 한숨 쉬게 한 것은 화천대유 의원 아들이 ‘산업재해 위로금’이란 명목으로 퇴직금 50억원을 받았단 대목이었다.

 

“청년 노동자들이 물류센터, 지하철 스크린도어에서 다치거나 심하면 목숨을 잃을 때, 동년배인 의원 아들만큼의 보상이 주어진 적은 보지 못했다”고 그는 한숨 쉬었다.

 

그의 한숨처럼 작금의 한국 청년층은 까마득한 집값, 근로소득 가치의 추락, 열정페이 등 청년 문제로 상대적 박탈감, 공정 가치의 비(非)작동에 대한 분노를 크게 안고 있다.

 

더욱이 코로나19 경제위기로 끝 모를 실업 한파를 겪는 청년층과 달리, 고위공직자의 아들딸이 이 같은 특혜를 받았단 점에서, 한국의 ‘수저 색깔론’ 존재를 다시 입증하게 됐다.

 

지난해 청년 고독사 발생 건수는 4196명, 같은 해 산재로 숨진 청년만 42명이다. 빈곤한 청년 ‘흙수저’들을 위해서라도 정부가 강조한 공정의 가치는 세워져야 하나, 연이어 터지는 불공정 문제에 청년층 한숨의 끝은 보이지 않는다.

 

[ 경기신문 = 현지용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