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5 (화)

  • 구름조금동두천 26.7℃
  • 구름많음강릉 28.5℃
  • 구름많음서울 27.0℃
  • 구름많음대전 25.1℃
  • 구름많음대구 27.8℃
  • 구름많음울산 26.7℃
  • 구름많음광주 27.2℃
  • 흐림부산 26.2℃
  • 흐림고창 27.6℃
  • 흐림제주 23.3℃
  • 맑음강화 24.8℃
  • 흐림보은 23.4℃
  • 흐림금산 25.6℃
  • 흐림강진군 25.7℃
  • 흐림경주시 27.1℃
  • 흐림거제 25.5℃
기상청 제공

우윳값·전기료 오르니 커피값·가스비도…‘도미노’ 물가 상승

1~8월 소비자·생활 물가 다달이↑ ‘도미노 인상’
‘밀크플레이션’…전기료 상승→가스비·버스비 여파
자가주거비, 물가 부담 키워…“공공요금 동결할 것”
“유동성 과잉, 원자재값↑…뒤늦은 억제는 풍선효과”

 

우유 등 가공식품 가격과 전기료 등 공공재 요금이 인상되면서 커피값, 지하철 요금 등 관련 품목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29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소비자 물가와 생활물가는 매월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소비자 물가의 경우 지난 1월 전년 동월 대비 0.5%에서 3개월만인 4월 2.3%대로 상승한 데 이어 지난달 2.6%로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며, 8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식품·전월세 등 소비자 구입빈도·지출비중이 높은 품목 141개를 대상으로 계산한 생활물가도 지난 1월 0.3%에서 매달 상승해 5월 3.3%로 3%대에 진입, 지난달 3.4%까지 오르는 등 매월 오름세다.

 

이러한 물가 상승은 우유 등 가공식품 가격부터 전기료 등 공공요금까지 영향을 주며, ‘도미노 현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가공식품의 경우 서울우유에서 다음달 1일부터 우윳값 인상을 선언해 동종업계 업체들도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 치즈·분유 등 유제품 및 우유를 원료로 쓰는 빵·커피 가격 인상도 예상돼, 우윳값 인상이 소비자 물가 인상에 영향을 끼치는 ‘밀크플레이션(우유와 인플레이션의 합성어)’ 이야기도 들린다.

 

 

이미 한국전력은 지난 23일 LNG(액화천연가스) 등 전기 생산 원료의 가격 인상과 적자 경영을 이유로 4분기 전기요금 인상을 결정했다.

 

이에 주택용 도시가스 요금도 4분기 동반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관련된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요금, 상하수도 등 지방 공공요금도 인상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견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주요 공공재 부문의 물가지수는 지난해 5월 0.7% 상승을 시작으로 지난 4월 0.5%를 기록하는 등 0% 내외를 유지했다. 하지만 올해 5월 1.1%로 1%대에 진입한 후 7월~8월 연속 2.3%를 기록하는 등, 하반기 들어 상승세로 돌아서고 있다.

 

여기에 소비자물가 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거비를 ‘자가주거비(자가주택 구입에 동원되는 대출이자·세금·금리영향 등 관련 비용을 반영한 주거비)’로 반영해 계산하면, 체감 소비자물가 추정치는 더 높게 나타난다는 한국은행 연구 결과도 나온다.

 

한은은 지난 28일 보고서를 통해, 자가주택 구입에 포함되는 대출이자·세금 등 관련 비용인 자가주거비를 주거비에 포함하면 금리 인상에 따른 체감 주거비 및 이로 인한 전체 소비자 물가가 더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물가 상승 분위기가 가시화되자 정부는 공공요금 인상 억제를 통한 물가 조정 방안을 내놨다. 기획재정부는 29일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이미 결정된 공공요금을 제외한 나머지는 연말까지 최대한 동결할 것”이라 밝혔다.

 

주요 방안으로 정부는 가스·상하수도·교통·쓰레기봉투 가격 등 지방공공요금은 4분기 동결 원칙에 따라 지자체와 협의로 억제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 밀크플레이션 확산 방지를 위해 “연내 낙농산업발전위원회를 중심으로 원유 가격 결정구조를 개선하고, 가격 인상에 편승해 담합 등 과도한 인상 징후를 보이면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 설명했다.

 

이은희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는 “전월대비 물가가 수개월간 계속 오른 것은 물가 상태가 위험한 상태임을 의미한다. 여기에 국민지원금, 상생소비지원금(캐시백) 지급으로 시장에 유동성이 과잉됐다. 원자재값도 오를 소지 있어 향후 물가 상승 연속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선제적으로 전기요금 인상 억제를 하지 않아, 이제와서 공공요금 동결로 접근하는 것은 옳지 않은 접근”이라며 “뒤늦은 억제는 풍선효과를 부를 것이다. 가공식품·공공재 한 축을 인상하면 그 영향이 다른 부문 인상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평가했다.

 

[ 경기신문 = 현지용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