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김석훈의 대청도 단상 - 때고 남는 섬, 대청도(하)

 

◈ 나무꾼의 하루

 

▶ 땔감 구비의 경우

 

여러 명의 나무꾼이 필요했기에 3~5가구가 품앗이를 하는데, 대략 10명 안팎의 나무꾼으로 구성된다. 땔감 마련은 동시에 작업이 진행되며 나무를 하기 위해 약 일주일의 기간을 정했다. 정해진 날 새벽에 모여 아침을 든든하게 먹고, 해뜨기 전 아침 6시쯤 지게를 지고 집을 나섰다.

 

땔감은 소나무를 비롯해 서어나무(일명 소사나무), 도토리나무, 솔 가래기, 나무뿌리(밑둥) 등 다양하며, 나뭇가지는 대체로 손가락 굵기 정도를 벴다. 한 아름 정도의 양을 모으면 준비한 칡 줄기로 단단히 묶어 단을 만들었는데, 하루에 성인이 벨 수 있는 양은 35~40단 정도였다.

 

귀가는 일몰 전에 이뤄졌으며 하루 일을 마치면 정성껏 마련한 밥상을 차려놓고 힘든 시간을 보상받았다. 음식 장만의 경제적 부담은 돌아가며 품앗이로 하는 일이기에 그다지 크지 않았다.

 

▶ 땔감을 운반할 경우

 

운반의 경우도 벨 때와 같이 품앗이에 따라 움직이는데 적어도 7~8명, 많으면 10명 정도 같이 움직인다. 운반하는 방법은 지게에만 의존하는 경우, 지게로 중간 지점까지 모아놨다가 달구지에 싣고 오는 경우가 있다.

농토가 거의 없는 모래울동 혹은 고주동에서는 주로 지게에 의존했지만 농토가 있는 내동이나 양지동은 달구지를 이용했다. 먼 산에서 오는 경우는 중간 지점에 모아놨다가 운반했다. 지게를 이용할 경우 어른은 5~6단, 어린이는 보통 3~4단 정도씩 운반했다.

 

산 중턱에서 땔감을 지고 산을 오르락내리락하는 횟수는 5~6회 정도이며, 하루 일을 마치면 종아리는 알이 배길 정도로 딴딴하게 변했다. 그래서 땔감을 하는 집에서는 나무꾼의 힘든 노고에 정성껏 식사 접대를 했다.

 

◈ 빈부의 차에 의한 땔감의 질과 양

 

주민 가운데는 산을 보유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 면적이 넓거나 적은 면적을 소유한 사람 등 다양한데 자기 소유의 산이 있어 땔감을 하는 사람은 보통 3~4년 가량의 주기로 베기 때문에 산을 3~4등분 구역을 나눠 돌아가면서 땔감지를 선택했다.

 

따라서 재산의 정도에 따라 땔감의 질과 양도 달랐다. 그러나 대부분 집은 매년 반복되는 일이기에 어느 정도의 양은 갖췄으며, 상부상조의 미덕이 잘 갖춰진 지역인지라 땔감에 대해 인색하진 않았다.

 

◈ 숯(木炭)으로 유명한 대청도

 

산이 넓어 수목에서 나오는 유명한 임산물(林産物)은 무엇이 있을까? 명약으로 썼던 상기생(桑寄生)과 숯이 대표적이다.

 

조선 후기 정조가 왕실에서 약 달이는데 필요한 숯을 대청도에서 제조 상납하라는 특명을 내렸다는 전언과 러·일 전쟁 당시 일본인들이 대청도 나무로 숯을 만들어 갔다는 얘기도 있다. 지름 1.5~2m 정도의 원형 구덩이를 파고 흙이 무너지지 않게 가장자리에 돌벽을 쌓고 숯을 만든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한다.

 

11월 초순 입동 지나 긴 겨울을 걱정 없이 보낼 수 있게 땔감을 마련한 집주인의 마음은 어떨까? 매년 제사처럼 돌아오는 땔감 준비지만 뿌듯한 의식의 흐름은 상부상조하는 그들만의 마음속에 존재할 것이며 막걸리와 사랑방 아궁이에서 구어 낸 백고구마, 분지 향이 나는 호박김치나 얼음 동동 띄운 동치미를 안주 삼았던 주안상은 그들만의 소확행이 아니었을까?

 

끝으로 도움을 주신 지○철님(모래울동), 김○찬님(서내동)께 감사드린다. / 김석훈 백령중고 교감·인천섬유산연구소 이사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