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5 (화)

  • 구름많음동두천 26.6℃
  • 구름많음강릉 25.6℃
  • 구름많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7.7℃
  • 구름많음대구 28.8℃
  • 구름많음울산 28.1℃
  • 구름많음광주 28.2℃
  • 흐림부산 26.3℃
  • 구름많음고창 27.1℃
  • 제주 23.0℃
  • 맑음강화 25.3℃
  • 구름많음보은 26.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8.3℃
  • 구름많음경주시 28.7℃
  • 흐림거제 25.6℃
기상청 제공

아주대 전상민 교수, 포도당 인산화 효소로 암 전이 조절 역할 규명

전상민 교수-美 일리노이주립대 공동 연구팀
글로벌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논문 게재

 

아주대학교는 "전상민 약학과 교수가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팀이 단순한 포도당 인산화 효소로 알려진 HK2(Hexokinase 2) 조절을 통해 암 전이를 조절하는 항암 전략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HK2는 이전까지 포도당에 대한 인산화를 발생시켜 '포도당-6-인산'(glucose-6-phosphate, G6P)을 생성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었다.

 

전 교수와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공동 연구팀은 유방암 등 다양한 암에서 HK2 발현이 증가되는 점에 주목했다.

 

HK2 과발현과 암 전이가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나오면서, HK2의 암 전이 조절 역할과 그 작용 기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왔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포도당(글루코스)이 부족한 환경에서 G6P의 양이 감소하면 HK2는 스캐폴더*로 작용하여 암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NAIL 단백질 증가를 유도해 세포의 이동 및 암세포 전이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점을 파악했다.

 

* 스캐폴드(scaffold) 단백질 : 두 개 이상의 단백질을 특정 위치에 모으도록 돕는 일종의 플랫폼 역할을 하는 단백질. 세포 신호 전달 과정의 특이성과 효율성을 조절함.

 

반면, 포도당이 풍부한 환경에서 증가된 G6P는 HK2에 결합하여 스캐폴더로 더 이상 작용하지 못하게 되어 SNAIL 단백질 분해를 유도해 세포의 이동과 암 전이가 억제된다. 

 

HK2가 비효소적 스캐폴드 단백질로 작용하며 세포 내 신호 전달 제어를 통해 암 전이 조절 역할을 함을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HK2가 효소 기능과 무관하게 세포 내 포도당 대사체인 G6P의 양을 감지하는 세포 내 포도당 센서로 작용, 암 전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며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항암 전략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글로벌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월 16일자에 'HK2의 비효소적 스캐폴드 기능을 통한 EMT와 암전이 조절 역할'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 경기신문 = 이명호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