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로 기술개발에 성공한 AMP(육상전원공급장치)가 인천항에 설치되어 있다.[사진=인천항만공사 제공]](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20623/art_16549999820887_4827d7.jpg)
인천항에 국내 최초로 대기 환경 오염물질과 유류비 저감을 위한 '저압용 AMP 68기, 고압용 AMP 3기'가 설치됐다.
인천항만공사(IPA)는 국내 항만의 AMP(육상전원공급설비) 보급 확대를 위해 AMP 핵심부품 5종의 국산화를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AMP는 선박 정박 중에 필요로 하는 전력을 육상에서 공급하는 설비로, 화석연료로 전력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미세먼지·온실가스·황산화물 등 대기 환경 오염물질을 줄일 수 있다.
IPA는 지난 2018년 11월부터 중소기업과 함께 AMP의 접속장치, 부속기기 및 지능형 관리시스템을 개발해 왔으며, 한국산업기술진흥원으로부터 기술개발사업 과제의 성공 판정을 받았다.
IPA가 국산화한 5종의 장치는 6.6kV급 대형선박용 고압 AMP의 핵심부품으로 ▲케이블 릴 ▲디스펜서 ▲육상접속함 ▲접속 플러그 ▲접속 소켓 등으로 구성돼 있다.
기존에는 관련 해외 제품이 AMP 시장을 독점해 고가의 장비 수입에 의존해야 했지만, 이번 국산 기술개발을 통해 국내 AMP 설치,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시간이 절감될 것으로 전망된다.
참여사인 이화전기공업 김성규 대표는 “이번 기술개발을 통해 AMP의 해외 의존을 줄이고, 약 20%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향후 AMP 상용화를 통한 국민 건강증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IPA 홍성소 건설부문 부사장은 “친환경 항만 조성과 국내 항만 선진화를 위해 AMP 국산화 사업을 추진했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과의 기술 협업을 통해 혁신 기술을 개발하고 인천항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