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시각장애인이 어려움을 겪는 대중교통 이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태그리스페이 시스템’(비접촉 교통카드 인식) 등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교통복지 사각지대에 방치된 시각장애인 이동편의’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약 25만 명의 전국 시각장애인 중 5만4000여 명이 경기도민이며, 전체 경기도민 약 1358만 명 중 시각장애인은 약 0.4%에 달한다.
인구 대비 시각장애인 비율이 높은 시‧군은 연천군이 0.66%, 여주시·가평군이 0.65%, 양평군이 0.57% 등이다. 연구원은 후천적 시각장애가 고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만큼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도농지역에 시각장애인 비율이 높다고 설명했다.
시각장애인들은 대중교통 중에서도 특히 버스 이용에 큰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9~10월 디지털시각장애인연대가 전국 시각장애인 252명을 대상으로 인식 조사한 결과 가장 불편한 교통수단으로 전체 52.8%가 버스를 지목했다.
이는 버스 정차 위치와 노선번호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인데, 상대적으로 우수한 안내 서비스를 갖춘 지하철은 43%가 지목해 버스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에 연구원은 버스 승하차 시 교통카드를 찍어야 하는 단말기의 위치가 버스마다 달라 시각장애인이 불편을 겪고 있다며 버스의 교통카드 단말기 위치 표준화 사업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도는 최근 시‧군, 버스 제조업체, 버스 운영업체, 교통카드 단말기 운영업체 등과 협조해 교통카드 단말기 위치 표준화에 합의했다. 도는 추후 버스 업체들과 표준안을 마련해 적용할 계획이다.
또 시각장애인이 버스 탑승 지점을 알기 쉽게 시각장애인 전용 대기지점 혹은 우선 대기지점을 도입하는 방안도 주장했다.
버스 이용객이 많은 정류소에서는 전용 대기점을, 비교적 한산한 정류장에서는 시각장애인이 줄 맨 앞으로 오는 우선 대기지점을 도입하자는 내용이다.
이어 태그리스페이 시스템(비접촉 교통카드 인식)과 승하차 정보 제공을 위한 비콘(교통정보 수집 장치) 설치 등 첨단정보통신기술 활용, 저시력자를 위한 지하철역 출입구 번호표시 글씨 크기 확대, 횡단보도 음성신호기 정비사업 등도 나열했다.
지우석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보통신기술의 활용도 효과가 크지만 교통약자 전용 대기지점 등은 사회 구성원 모두의 이해와 공감도 선행돼야 한다”며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후천적 시각장애가 많이 발생하면서 저시력 장애인을 위한 이동편의 서비스는 고령친화도시를 위한 미래 대응 정책도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기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