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기후위기 대응 방안으로 수소경제 대중화를 추진한다.
김 지사는 27일 평택시 아산국가산업단지 원정지구에서 열린 평택 수소생산시설 준공식에 참석해 “우리가 극복해야 할 미래 도전과제 가운데 하나가 기후 변화”라며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수소경제 대중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김 지사는 준공식에 이어 생산시설을 견학하며 “탄소 중립 시대를 맞아 평택 수소생산시설이 핵심 에너지원 역할을 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말했다.
평택 수소생산시설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에 2019년 12월 선정돼 총사업비 230억 원(국비 48억5000만 원, 도비 30억 원, 시비 70억 원, 민간 81억5000만 원)이 투입됐다.
이곳에서는 평택 LNG 인수기지에서 공급받은 천연가스를 뜨거운 수증기로 열분해해서 수소를 만드는 방식으로 이르면 다음 달부터 하루 최대 7톤의 수소를 생산할 계획으로, 이는 하루 1200여 대 수소차를 완충할 수 있는 양이다.
현재 수도권에서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 33개소 대부분이 평균 120km 이상 떨어진 대산, 울산, 여수 등 원거리에서 수소를 공급받고 있는데, 도는 이번 준공으로 운송비용이 크게 줄어들면서 수소 공급 가격도 인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도와 평택시는 지난해 7월 ‘평택항 탄소중립 수소복합지구’ 조성을 선포하고 20개 공공기관·민간기업과 함께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평택항 탄소중립 수소복합지구 조성’은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국가 기간산업 최대 밀집 지역인 평택항 일대를 도시‧산업단지‧항만을 연계한 탄소중립 수소복합지구로 조성하는 사업이다.
김 지사는 평택과 안산에 “‘경기도형 수소융합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지역특화 산업과 연계해 수소 산업의 핵심거점으로 만들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이에 도와 평택시는 수소 생산시설에 이어 평택항 인근에 수소 충전시설을 연계한 수소 교통복합기지를 구축하고 수소를 주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수소 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 경기신문 = 김기웅 기자 ]